2일 한국은행은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통해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유동성을 푸는 완화적인 통화정책은 실물경제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제한적인 수준에 그치거나 눈으로 확인되는데 상당한 시일이 걸릴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한국은행은 이에 대한 원인으로 선진국들의 구조적인 문제를 꼽았다. 우선 미국은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실물경제 기반이 훼손된 상태에서 실업률이 크게 떨어지지 않고 있다. 때문에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Fed) 의장도 2월 의회연설을 통해 장기실업자가 아직 많은 수준이고 이에 따라 개인의 소득 증가가 빠르게 늘어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이를 통화완화의 효과가 실물경제에는 지연되는 것으로 파악했다.
이어 "선진국의 통화완화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약해지면서 글로벌 포트폴리오자금이 신흥시장국에 대규모로 유입돼 금융시장 변동성을 증대시키는 유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우리나라도 2월말 현재 주가가 전년말 대비 11.2% 상승하고 달러-원 환율이 3.0%정도 내려갔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