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김일중 기자] 국내 유일의 중저준위방폐물 영구처분시설인 경주방폐장 동굴처분시설에 바닷물이 스며드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제54차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록’을 입수해 경주방폐장에서 하루 1300t의 지하수를 퍼내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권 의원실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공사 당시에는 하루 5000t가량의 지하수가 뿜어져 나오기도 했다.
게다가 이보다 심각한 문제는 단순히 담수 수준의 지하수가 아닌 해수가 유입되고 있다는 것이다. 방폐장이 해안과 가까운 데다가 처분시설 대부분이 해수면보다 낮은 지하에 위치하고 있어 지하수를 통해 해수의 염소 성분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다.
권 의원실이 공개한 2016년 제54회 원안위 회의록에 의하면 당시 김무환 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원장은 “실제적으로는 해수가 들어왔기 때문에 생각보다는 많은 해수가 들어왔다는 것은 분명히 보입니다”라고 발언했다.
|
실제로 경주방폐장에서 발견되는 해수에는 염소성분이 일반 담수보다 높은 염소성분이 검출됐고, 해수성분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 또한 밝혀졌다.
권 의원은 경주방폐장 동굴처분시설 건설에 사용된 콘크리트가 해수용 콘크리트가 아닌 일반 콘크리트를 사용했다는 사실도 밝혔다.
한국원자력환경공단에 확인해 본 결과 일반콘크리트에 물과 일부 강화제의 비율만 조절해 강성을 높였다는 것이다.
권 의원은 “IAEA는 방폐장에 물이 고이지 않게 하라고 권고하고 있다”며 “심지어 독일은 지난 2011년 아세지역의 중저준위방폐장에 균열과 지하수가 발견돼 10년간 약 6조원 이상의 천문학적 비용을 들여 사용 중이던 방폐장을 폐쇄하고 방폐장 내부에 처분된 방폐물을 꺼내기로 결정했다”고 지적했다.
권 의원은 이어 “경주방폐장의 배수설비들은 60년을 고려해서 설계했고, 이후에는 배수 관련 대책이 전무한 상태”라며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는 방폐물 처분에 대해 산업부와 원자력계는 심각성을 깨닫고 정확한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