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정상궤도에 진입이 실패한 직접 원인은 위성덮개인 페어링 2개중 하나가 분리되지 않은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대해 교과부는 "한국과 러시아의 공동책임"이라는 주장이다.
김중현 교육과학기술부 제 2차관은 26일 오전 브리핑에서 "당초 2개의 페어링이 이륙 후 216초인 17시03분36초에 분리돼야 했지만, 하나만 분리돼 과학기술위성2호가 목표 공전궤도에 진입하는데 실패했다"고 밝혔다. 분리되지 않는 나머지 페어링은 이륙 후 540초에야 분리됐다.
또 과학기술위성2호는 지구로 추락하면서 본체 대부분이 소멸된 것으로 분석됐다.
1단 로켓과 2단 퀵모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했으며 1단과 2단 분리, 위성분리, 발사통제·추적·관제시스템, 발사대 운용 등 핵심기능이 정상적으로 이뤄졌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러시아 측의 입장이 나오지 않아 당초 내년 5월로 예정된 나로호 2차 발사를 포함한 추가 발사 횟수 등을 확정하는 데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교과부와 항우연은 앞으로 러시아 측과 과학기술위성2호의 목표 궤도 진입 실패 책임 소재를 비롯해 향후 발사체 발사 일정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김중현 차관은 "우선 한-러 공동조사위원회의 조사결과를 좀 더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성공적인 재발사를 위해 정부차원의 `나로호 발사 조사위원회`를 구성해 면밀하게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차관은 또 "이번 나로호 발사과정에서 얻은 경험과 기술을 토대로 2018년 독자 발사 목표 달성을 위한 장기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