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부총리는 지난 15일 국회 경제분야 대정부질문에서 ‘내년 총선에 출마할 것인가’라는 김영환 새정치연합 의원의 질문에 “경제는 저 말고도 잘하실 분들이 많이 있다”고 했다. 그는 “상황을 봐서…”라면서도 “야당 의원님들은 제가 물러나야 경제가 잘 된다고 하지 않느냐”며 미소를 보이기도 했다.
기존에 “(장관 임면 문제는) 전적으로 대통령이 결정할 문제”라며 조심스럽게 입을 연 태도에서 한발 나아간 것으로, 사실상 총선 출마 의사를 밝힌 셈이다. 차기 경제 수장에 대한 하마평이 갑작스럽게 커진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최 부총리가 여의도로 돌아가는 시점은 오는 12월 국회에서 내년 예산안이 통과된 이후로 예상된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여파에서 벗어나 내수가 회복되고 있는 현 상황도 최 부총리가 선거에 나갈 명분을 만들고 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청와대가 두 차례에 거쳐 장관 인사를 내릴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최 부총리는 노동개혁 및 예산안 통과 등 남은 과제를 끝난 이후로 점쳐진다”고 말했다.
박근혜 정부의 임기가 반환점을 돈 상황에서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치인의 입김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차기 부총리 후보는 대통령의 의중을 집행하고 있는 청와대 인사가 맡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박 대통령 대선공약의 산파역을 한 경제학자 출신의 안 수석은 임기 말 ‘박근혜노믹스’를 이끌 적임자로 일찌감치 물망에 오르고 있다. 박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꿰뚫고 있는 데다, 최 부총리와 경제 전반에 대해 호흡을 맞춰왔던 만큼 현 정부의 굵직한 경제 정책을 이어나갈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현 수석은 경제기획원, 재경원, 대통령 경제수석비서 등을 거친 전형적인 경제통이다.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4대 개혁과제 중 노동개혁을 진두지휘하는 등 최 부총리가 추진했던 과제를 이어갈 적임자라는 관측이다. 기재부(옛 재정경제원)에서 공직생활을 했고, KDI원장을 지낸 점도 기재부를 이끌 만한 리더십도 갖췄다는 평가다.
금융위원장에 오른 뒤에도 그는 4대 개혁 과제 중 하나로 내건 금융개혁을 앞장서 밀어붙이며 청와대의 마음을 얻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최 부총리가 ‘우간다 만큼도 못한 한국 금융’이라고 비판하면서 금융개혁의 성과가 없다는 질타가 이어지자 금융계에서는 부총리 발탁이 어려워진 게 아니냐는 평가도 나온다.
이 외에 김준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 김대기 전 청와대 정책실장 겸 경제수석,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이한구 새누리당 의원도 차기 부총리 하마평에 오르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