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된다는 ‘사물인터넷’(IoT)이 확산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이런 문제는 이제 더욱 큰 규모로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연말을 맞아 국내·외 주요 보안업체들이 내놓은 내년도 보안 이슈 보고서에서도 IoT를 비롯해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등을 언급하며 이 문제에 대한 우려 제기는 빠지지 않는다.
이 문제를 대체 어떻게 해결해야할까? 제품이나 시스템을 설계하는 단계부터 이를 고려한 ‘내재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전체적인 규제나 기준이 법·제도상 정비 돼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비용 부담때문에 소홀하기 쉬운게 바로 보안이다. 그런데, 이를 총괄하고 관리할 조직을 우리 정부에서는 현재 찾아볼 수 없다는게 일각의 지적이다.
“스마트팩토리 해킹이 발생하면 어떻게 될까요? 아마 누구도 지휘하지 못하고 우왕좌왕할 겁니다.”
최근 만난 한 보안 전문가는 이런 현실을 토로했다. 현재 사이버 보안에 대한 정부의 접근은 침해대응, 즉 누군가 해킹 공격을 시도할 경우 이를 기술적으로 차단하는데만 급급하다. 사전예방이나 전체적인 기관을 총괄 지휘하는 체계(거버넌스)에 대한 고민은 부재하다는 지적이다. ‘융합보안’을 말로만 외칠 것이 아니라 담당 조직 신설·개편을 빨리 고민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