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북한이 22일 금강산에서 금강산 관광 재개와 관련한 실무회담도 열자고 추가 제안한데 대한 향후 우리 측 반응에 따라 상봉 재개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금강산 실무회담에 우리가 부정적으로 나올 경우 상봉 재개가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 정부는 이산가족 교류는 인도적 차원에서 추진하되 금강산관광 재개 문제는 개성공단 문제가 안정된 이후 차근차근 진행한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앞서 북한이 7월10일 개성공단 실무회담이 진행되고 있을 무렵 판문점 채널을 통해 이산가족 상봉, 금강산관광 재개를 위한 실무회담을 제안했지만 우리는 이산가족 회담만 수용한다고 밝혔다. 북한이 이에 대한 반발로 이산가족 상봉, 금강산관광 재개 논의를 위한 회담 모두 보류했다.
문제는 북한이다. 3년동안 이산가족 상봉이 멈춘 상황에서 데이터가 꾸준히 관리되지 않아 전국 각지에 흩어져 있는 대상자를 파악하고 생사확인, 건강체크 등을 하는데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북측과의 조율 끝에 항상 100~150가족 안팎의 소규모로 상봉이 이뤄진 것도 대체로 북한의 이같은 상황이 반영됐기 때문이다.
북측이 과거처럼 이번에도 이산가족 상봉에 연계해 쌀과 비료 등 대북지원을 요구할지도 관심사다. 2000년 이후 남한은 매년 쌀 30~40만t을 북한에 제공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쌀 등이 군량미로 전용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대북 지원 실효성에 대한 지적이 잇따랐다.
1985년 분단후 처음으로 진행된 이산가족 상봉은 연평도 포격으로 2010년 10월 추석 상봉을 끝으로 완전히 중단됐다. 지금까지 총 18차례의 대면상봉과 7차례의 화상상봉을 통해 남북 양측에서 4321가족, 2만1734명이 만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