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학계에 따르면 이종하 조선대 무역학과 부교수, 김영준 트윈텍리서치 전임연구원, 황진영 한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오는 10일 열릴 ‘2022 경제학 공동학술대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가계 이전지출과 장기적 소득 불평등 개선 간의 관계’ 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들은 2008~2019년 자료를 활용해 국내총생산(GDP)대비 정부 가계경상이전지출 비율이 5분위배율과 10분위분배율, 가계부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5분위·10분위배율은 소득 상위 20%(5분위) 또는 10%(10분위)대비 하위 20%(1분위) 또는 10%(10분위) 소득을 나눠 소득 불평등을 알 수 있는 지표다. 해당 값이 낮을수록 소득 불평등에 개선됐다는 의미다.
가계 이전지출이 증가하면 처분가능소득을 늘어나는 만큼 당장 소비에 유용하지만 장기로 볼 땐 소득 분배 불평등이 더 심화한다는 것이다. 지난 수년간 가계 이전지출이 증가했지만 소득 불평등이 개선되지 않았다는 점도 이를 방증하나는 게 연구진 평가다.
기획재정부는 이를 두고 공적이전소득의 가계소득 개선 기여도가 저소득층에서 크게 나타났다며 소득 분배지표 개선의 이유로 분석했다.
반면 시장소득 기준으로는 11.37배로 전년대비 0.19배포인트 낮아졌지만 2018년(11.15배)보다는 오히려 높아지는 등 여전히 소득 불평등 개선은 요원한 상태다.
이전지출의 확대는 재원을 마련하기 위한 조세 왜곡이나 인구·산업구조 변동, 복지 의존성 증대로 저소득층의 미래 소득 창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게 연구진들의 판단이다.
이들은 가계 이전지출이 소득 불평등 완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경기 대응 성격 일회성이나 무작위적인 지출을 지양하고 예측 가능하고 표적화된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