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에게 유엔(UN)은 국제기구를 넘어선 의미가 있습니다. 1991년 9월 17일 제46차 유엔총회에서 남·북한의 유엔 동시 가입안이 159개 전 회원국의 만장일치로 채택됐습니다.”(2018년 9월 유엔 연차총회에서 문재인 대통령)
|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2일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유엔 총회가 벌써 20여일 앞으로 다가왔다”면서 “(대면 참석이) 아직까지 결정된 바는 없고, 여러 가지 정황들, 코로나 상황들을 종합해 조만간 (대통령이) 결정을 하실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文, 유엔총회 갈까…한반도 평화 ‘빅이벤트’
2017년 문 대통령은 “나는 전쟁 중에 피난지에서 태어났다. 나 자신이 전쟁이 유린한 인권의 피해자인 이산가족”이라면서 “그 전쟁은 아직 완전히 끝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쟁을 겪은 지구상 유일한 분단국가의 대통령인 나에게 평화는 삶의 소명이자 역사적 책무”라고 강조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이 싱가포르(2018년 6월12일)에서 북미정상회담을 가진 뒤인 2018년 9월 유엔총회에서는 문 대통령은 “지난 일 년 한반도에는 기적 같은 일이 벌어졌다”며 “이제 국제사회가 북한의 새로운 선택과 노력에 화답할 차례”라고 촉구했다.
‘하노이 노딜’ 이후인 2019년에도 2020년에도 문 대통령의 유엔총회 연설 주제는 북한이었다. 2019년 문 대통령은 “한국은 평화가 경제협력으로 이어지고 경제협력이 다시 평화를 굳건하게 하는, ‘평화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자 한다”고 제안했다. 2020년에는 “북한을 포함해 중국과 일본, 몽골, 한국이 함께 참여하는 ‘동북아시아 방역·보건 협력체’” 아이디어를 제시하기도 했다.
각별한 유엔총회, 문제는 美코로나·北호응
문 대통령이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이 공교롭게도 올해로 딱 30주년이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한반도 평화를 강조하기에 이만한 무대가 없다. 실제 청와대는 “의미가 큰 해에 국제 외교무대에서 남북한이 한반도 평화 메시지를 동시에 발신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기대를 공공연히 밝히고 있다.
문제는 미국 현지 상황과 북한의 호응 여부다. 미국은 인구 절반을 웃도는 백신 접종률에도 불구, 하루 20만명 가량의 코로나19 추가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다. 유엔총회의 경우 전세계에서 인사들이 총집결하는 만큼, 코로나가 한 단계 증폭할 가능성을 안고 있다. 이 같은 이유로 미국 측과의 유엔총회 대면 참석 관련 협의가 필요한 상태다.
또, 북한이 호응하지 않을 가능성도 변수 중 하나다. 북한은 지난 2018년 북미정상회담에서 영변 핵시설의 영구 폐기를 약속했지만, 최근 재가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 통신연락선에서도 한미 연합훈련 이후 응답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문 대통령이 유엔총회에 대면 참석하더라도 평화 메시지를 발신하기 어색한 상황이 연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