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지난 7월 정부가 ‘K-배터리 발전 전략’을 발표하고 연구개발(R&D) 지원 강화, 인력 양성, 수요 산업군 발굴·양성 등을 추진하곤 있지만 업계에선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작 배터리 산업이 근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려는 정책이나 의지가 보이지 않는다는 판단에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최근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배터리를 구성하는 4대 핵심소재인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의 해외 의존도는 평균 63.9%에 이른다. 배터리 소재의 원가구조 비중이 44%로 가장 높은 양극재의 경우 해외 의존도는 50%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2019년 47.2% 대비 의존도가 더 커졌다.
|
위기감을 느낀 국내 배터리 기업들은 최근 잇따라 소재 시장 진출을 선언하며 미래 준비에 나섰으나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배터리 소재를 구성하는 리튬과 니켈, 코발트 등 원자재 가격이 1년 사이 5배가 오르는 등 치솟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해외자원개발 사업은 사실상 대부분 중지된 상태다. 정부가 나서 소재의 안정적인 구축망을 확보할 수 있도록 외교적 역량을 쏟아부어야 한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박철완 서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정부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상황이며 지금까지 방법으로는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며 “위기를 인지하고 산업외교와 인력 양성, 기초연구 등에 제대로 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