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서대웅 기자] 1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조찬 회동을 한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통화정책 정상화로 인한 성장둔화와 자산가격 조정은 불가피한 안정화 비용”이라고 한목소리를 냈다.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가운데)이 1일 오전 서울 본원에서 금융시장 전문가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NH투자증권 황병진 애널리스트, KB증권 장문준 애널리스트, 삼성증권 윤석모 리서치센터장, 이복현 원장, 신영증권 김학균 리서치센터장, 제이피모간체이스 박석길 이코노미스트, 소시에테제네랄 오석태 이코노미스트. |
|
이 원장은 이날 서울 본원에서 금융시장 전문가들과 조찬 간담회를 열어 △원자재?부동산 시장 동향 및 전망 △글로벌 인플레이션 및 금리상승이 우리 경제?금융 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현재 상황을 진단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간담회에는 윤석모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 박석길 제이피모간체이스 이코노미스트, 오석태 소시에테제네랄 이코노미스트, 황병진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 장문준 KB증권 애널리스트 등 6명이 시장전문가 자격으로 참석했다.
이 원장은 모두 발언에서 “금감원이 위기에 최선을 다해 대비하고 있지만 시장이 급변하고 있어 새로운 트리거가 어디에서 어떤 방식으로 나타날지 알 수 없다”며 “금융당국이 어느 곳을 주시하고 무엇을 더 준비해야 하는지 시장 전문가 여러분의 솔직한 판단과 제안을 듣고 싶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최근의 긴축을 ‘통화정책 정상화’, 이에 따른 성장둔화와 자산가격 조정은 ‘안정화 비용’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장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안정과 통화정책 신뢰성 제고라는 경제적 편익이 더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통화 정상화 과정에서 이자비용 부담이 늘어나겠지만 전반적인 금융안정을 해칠 정도로 크지는 않을 것으로 평가했다.
다만 금리 상승이 경제 주체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팬데믹 극복과정에서 전세계적으로 부채가 증가했는데 특히 우리나라는 가계와 기업 등 민간 부채 규모가 빠르게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하반기 국내 증시에 미치는 주요 리스크로는 국제 유가(인플레이션), 수출, 기업실적 불확실성 등을 지목했다. 다만 우리나라의 대외지급능력 등 양호한 경제 펀더멘털 및 기업실적 등으로 볼 때 증시의 하방 지지선이 견고하다고 평가했다.
또 국가 신용도 대비 금리 경쟁력과 유입자금 성격 등을 감안하면 한·미 금리 역전이 발생해도 외국인 자금의 급격한 유출 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