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에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는 신용위험평가 C·D등급을 받은 8개의 조선사의 경우 지속적으로 구조조정을 추진하되, 지역경제의 파급효과를 고려해 수리조선사나 블록공장 등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9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지난 5일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36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조선산업 지원방안이 토의됐다.
우선 정부는 조선사의 일시적 유동성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수출입은행과 수출보험공사의 선박제작금융 지원을 확대키로 했다.
예상보다 실적이 저조한 수출입은행의 네트워크대출 5000억원을 수요가 많은 제작금융으로 전환키로 한 것. 필요할 경우 각 조선사에 대한 제작금융 자금지원 한도도 높인다.
조선사 뿐 아니라 국내 조선사에 선박을 발주한 선사들에 대해서도 정부는 유동성 지원에 나선다.
유동성 지원의 일환으로 해운사에 대한 LTV 요건이 완화된다. 선박의 담보가치가 하락할 경우 선사는 추가적인 담보를 제공해야 하는데, 이 추가 담보금액의 일정 부분을 업황이 호전될 때까지 수은이나 수보가 한시적으로 분담해준다는 것이다.
또 선주가 금융지원을 요청할 경우 수은 직접대출(혹은 유럽 등 해외은행)과 수보의 중장기수출보험을 패키지로 묶어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기존에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는 신용위험평가 C·D등급 8개 조선사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수리조선소나 블록공장 등으로의 사업전환을 적극 유도키로 했다.
아직 국내 수요기반이 부족하긴 하지만 세계시장 규모가 470억달러에 달하는 해양레저장비산업으로 사업전환 가능성도 타진한다.
조석 지경부 성장동력실장은 "C·D등급 조선사들의 경우 자체적인 경쟁력을 갖기 힘들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들 업체들이 조선사 이전에 했던 수리조선소나 블록공장으로 다시 돌아가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며 "이같은 방향에 대해 업체들에게 권고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조선산업의 중장기적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재생에너지 등으로 사업다각화를 추진하고, 고부가가치 해양플랜트나 초대형컨테이너선, LNG선 등 핵심원천기술 확보, 조선기자재 글로벌지원센터 설립 등에 따른 조선기자재 직수출 활성화를 추진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