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aily] 우리나라 가계는 보유 자산가치가 100원 증가할 때 3.5원 정도를 소비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콜금리를 1%p 인하할 경우 민간소비는 0.4%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콜금리를 인하할 경우 파급경로별로는 이자소득 감소는 소비 억제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소득증대 효과, 부(富)효과, 대체효과 등에 의한 소비증가가 더 크게 나타나 지난해 콜금리 인하조치가 소비증가세 유지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전철환 한은총재는 25일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한국경제발전학회 정기총회에서 `부(富)의 변화 및 금리변동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강연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강연자료에 따르면 국내 가계 전체자산의 부효과(부의 증감에 영향을 받아 소비가 변동하는 것)는 0.035로 추정돼 자산가치 100원 증가시 민간소비가 3.5원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가계보유 자산 규모 1달러증가시 민간소비가 3~5센트 증가한다는 미국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가계보유자산을 주택자산과 주식자산으로 구분해서 보면 두 자산의 부효과는 모두 100원당 4원정도로 추정됐다. 주식자산의 부효과는 미국(달러당 3센트정도)과 비슷했지만 주택자산의 부효과는 미국(달러당 10~15센트)보다 훨씬 작게 나타났다. 주택의 경우 가격이 올라도 팔아 소비하는 대상이라기 보다는 자녀에게 상속해야 한다는 인식때문에 부효과가 낮은 것으로 풀이됐다.
콜금리를 1%인하할 경우 부효과를 통해 민간소비는 0.19%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또 콜금리 1%인하는 연간 실질 개인처분가능소득을 0.26%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0.23%의 소득증대 효과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효과 등도 민간소비 0.17%증가요인으로 작용했다.
반면 콜금리 인하는 순이자소득을 8700억원 감소시켜 실질 개인처분가능소득을 0.22%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민간소비를 0.19% 줄어들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콜금리 1%인하시 예금이자소득은 4.11조원 차입금이자는 3.24조원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콜금리 1%인하시 파급경로별 효과추정 근거는 별도 자료 참고)
한은 관계자는 "이는 금리를 인하하더라도 소비와 투자는 살아나지 않아 유동성 함정에 빠진 일본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금리인하의 효과가 소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