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씨는 2013년 11월 산부인관에서 목에 탯줄이 두 번 감긴 채 출생해 첫울음과 호흡이 없던 신생아 심폐소생술 처치를 맡았다가 저산소성 뇌 손상, 사지 강직성 뇌성마비 등 상해를 입힌 혐의로 2020년 9월 기소(업무상 과실치상)됐다.
검찰은 A씨가 심폐소생술 장비 준비와 상태 점검을 소홀히 해 사용이 늦어졌고 기관삽관에 필요한 장치의 건전지를 교체하는 등으로 시간을 지체해 신생아 뇌 손상에 영향을 미쳤다고 봤다.
재판부는 피해자 출생 직후 응급조치를 했던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의 진술과 간호기록지, 의료 기록 등을 볼 때 피해자가 응급조치를 받은 뒤 대학병원으로 옮겨질 때까지 심박동 수가 정상범위를 유지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며 “신속한 기관삽관 시행이 필요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신생아 가사는 90%가 출생 전 또는 출생 과정의 원인으로 발생하고, 10%는 출생 후 원인으로 발생한다”는 통계적 근거도 덧붙였다.
항소심 재판부 역시 1심 판결을 유지했다. 이 병원을 운영한 산부인과 전문의는 “심폐소생술 장비 준비·점검은 간호사들이 담당하고 있고, 장비에 이상이 있으면 산부인과 의사가 점검하며 피고인은 관리책임자가 아니다”고 진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