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외교가에 따르면 지난 10일 중국의 북한 전문 여행사 INDPRK는 북한 국내 상황으로 인해 11일부터 다음 달 5일까지 외국인 단체 관광객을 받지 않겠다고 중국 여행사에 통지했다. 통지문에는 평양의 모든 호텔이 보수작업에 들어가야 해서 단체 관광객을 받을 수 없다고 기재돼 있다.
하지만 매일 2000여 명의 중국인 관광객을 받으며 외화벌이를 하는 북한이 성수기인 8월에 갑작스럽게 단체 관광객을 통제하는 것이 매우 이례적이란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에 다음 달 9일은 북한의 정권 수립 70주년을 기념하는 건국절인 만큼, ‘혈맹관계’를 복원한 북·중 정상의 회동이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중국으로선 미국을 견제하는 동시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세 차례 방중에 대한 답방을 할 수 있다. 북한으로서도 시 주석의 방문에 맞춰 북한의 대외개방 및 경제건설에 대한 의지를 국제사회에 선보일 수 있어 양측의 이해관계가 맞을 것이란 이유에서다.
이미 중국은 한국전쟁 종전선언의 한 축에 중국이 들어가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12일 북한 노동신문이 한반도 평화를 실현하는 첫걸음으로 북·미가 종전선언의 단계에 접어들 시기라고 주장한 데 대해 “한반도 전쟁 상태를 종결하는 것은 시대진보의 조류에 부합한다”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유관 각국의 이를 위한 노력을 지지한다”면서 “중국은 한반도 문제 중요한 당사자이자 정전협정 체결 당사자로서 마땅한 역할을 발휘하길 원한다”며 ‘중국 역할론’을 덧붙였다.
여전히 중국이 종전선언에 참여할 수 있을 지는 미국의 입장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6월 열린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서도 ‘시진핑 배후론’을 꺼내며 중국의 개입을 극도로 경계한 바 있다.
베이징 한 소식통은 “최근 중국이 종전선언에 참여하기 위해 남한 및 북한과 연이어 접촉하고 있다”며 “한반도 장악력을 높이려 하는 중국으로선 종전선언 참여를 포기할 수 없는 만큼, 8~9월 북한을 둘러싼 중국의 발걸음도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