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준금리 인상은 콜금리, 장단기 시장금리, 예금·대출금리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특히 보유한 대출이 변동금리인 차주라면 기준금리 인상으로 이자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 이자 부담이 커지면 대출자는 소비를 줄이는 것과 동시에 차입투자(레버리지)로 얻은 자산 가격 자체가 취득가격보다 낮아지면 자산 매각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
16일 금융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가계대출 옥죄기 규제 도입에 이어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며 자산시장을 ‘경색’ 시키는 방향으로 정책을 구사하고 있다. 실제 한은이 지난해 8월부터 세 차례 금리 인상을 통해 유동자금을 거둬들이고 있는 데다, 올해 기준금리를 1.75%까지 올릴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여기에 금융당국은 올해 1월부터 개인별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2단계 규제를 조기 시행하고, 은행권 가계부채 증가율을 지난해 5~6%에서 올해 4~5%로 축소키로 했다.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이자율도 순차적으로 상승하는 만큼, 실수요자는 매수 심리가 약해지고 이자부담이 커진 다주택자는 집을 팔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실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179.9)는 한 달 새 0.79% 떨어졌다. 1년 7개월 만의 하락이다. 실거래가지수는 시세 중심의 가격 동향 조사와 달리 실제 거래된 실거래가격을 이전 거래가와 비교해 지수화한 것으로, 최근의 시장 상황을 가장 정확히 반영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기준금리 인상 등이 자산시장에 영향은 미치겠지만 강도가 크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주식시장은 글로벌 금리에 연동 된다고 봐야 하는 만큼, 특히 미국발 테이퍼링으로 주식시장의 변동 가능성은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