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을 앞둔 한국경제가 다시 저성장의 늪에 빠지면서 각종 단기부양책이 고개를 들고 있다. 불과 3개월새 국내총생산(GDP)의 1%(13조원)에 달하는 돈이 경기살리기에 투입된다. 절대금액으로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추가경정예산때 들어갔던 28조원의 절반수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뒷걸음질치던 당시에 비해 미미하게나마 성장이 진행되고 있는 지금 상황에선 결코 적은 규모는 아닌듯 하다.
재정지출은 속성상 비대칭적이다. 어려울때 돈 풀기는 쉬워도 좋을때 되돌리기는 어렵다. 대선을 목전에 두고 정치권의 선심성 정책이 난무하면서 재정건전성은 이미 위협 받고 있는 상황이다. 경기부양은 그래서 잠재능력 수준에서 신중하게 이뤄져야 한다. 특정계층을 명확히 설정하고(targeted), 시의적절하게(timely), 한시적으로(temporary)만 돈을 풀어야 한다는 재정정책의 ‘3T원칙’은 그래서 나왔다. 전도유망한 경제학자 라구람 라잔은 무분별한 경기부양의 폐해를 이렇게 경고한다. “(경기부양은) 마약과도 같다. 혜택은 지금 이 순간 톡톡히 누릴 수 있지만 그 비용과 후유증은 미래에 교묘히 전가된다.” 표심에 눈이 먼 근시안적인 정치인과 관료에겐 불편한 진실이 아닐지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