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플랜트·국내 주택사업 안주 안돼…고부가 해외 개발사업 도전해야

[전문가와 함께 쓰는 스페셜리포트]
②무너지는 'K건설 신화'…중동 시장 전 세계 5%에 불과 동유럽 공략
6% 불과한 투자개발사업 확대 필요…정부 지원 늘려 PF능력 키워야
  • 등록 2022-08-15 오후 7:05:32

    수정 2022-08-15 오후 9:10:18

[이데일리 이성기 기자] 최근 진행한 UAE 아부다비석유공사(ADNOC) 알누프 해수 처리 플랜트 사업 입찰자격사전심사(PQ)에서 1차 관문을 통과한 국내 기업의 수는 ‘0’이었다. 총 공사비 20억 달러(약 2조5729억원) 규모의 대형 프로젝트로 올 하반기 해외건설시장의 최대어로 꼽힌다.

일본에서만 이토추·마루베니·제라 등 3곳이 포함됐고 프랑스 베올리아와 스페인 악시오나 등 6개국 11개사가 들어갔지만 국내 기업의 이름은 찾아볼 수 없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몇 년간 눈에 띄는 프로젝트가 있어야 경쟁할 수 있는데 입찰자격사전심사(PQ)를 통과할 만한 국제적 ‘트랙 레코드’를 갖추고 있는 곳이 없는 게 한국 건설 업계의 현주소”라고 지적했다.

추락하는 국제 경쟁력…공공 역할 확대 필요

최근 윤석열 정부가 해외 건설 수주액 연간 500억 달러를 달성하겠다며 총력전에 나선 이유도 건설산업 존립 자체가 위기에 봉착했다고 진단했기 때문이다. 최근 해외 건설 수주액이 감소했다고는 하나 여전히 반도체, 자동차, 석유제품에 이어 4위의 수출 품목이다. 해외 건설 수주 누계액은 9000억 달러를 넘기도 했다. 현재도 한 해의 해외건설계약액은 국내총생산(GDP)에서 약 2.1%를 차지하고 있으며 고도 경제성장기인 1970년대 해외 건설은 우리나라의 주요한 성장동력이기도 했다.

[그래픽=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수주를 통해 2010년 716억달러까지 늘어났던 해외건설 수주액은 2015년 이후 급감하면서 최근 몇 년간 300억달러 수준에서 제자리걸음 중이다. 권역별·공종별 한쪽으로 치우친 수주 구조 등 취약 요인은 여전하다. 최근 글로벌 금리 인상과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공사비용 증가 등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도 해외건설 수주 달성에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강정화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2016년 이후 해외건설 수주액은 200억~350억달러 수준에서 박스권을 형성 중이다”며 “올해도 현 박스권 내에서 수주액이 머무를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해외 시장 수주전이 국가대항전 양상을 띠는 만큼 정부와 공기업 등 공공의 역할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지난 3년간 해외건설 수주 국가 순위 10위권 밖이었던 미국과 전쟁재건사업을 펼칠 우크라이나를 비롯해 원전 건설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체코, 루마니아, 헝가리, 불가리아, 폴란드 등 동유럽 지역의 진출 확대를 전략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대형 건설사 한 관계자도 “최근엔 정부 주도 개발보다는 민자복합 사업을 많이 발주하고 이런 공사를 따내려면 자금 동원 능력이 제일 중요하다”며 “국내 기업이 외국의 민자발전 분야 등에 진출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정책 자금과 국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능력 부족 때문이다”고 말했다.

손태홍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해외 건설에서 경쟁력 저하는 어제오늘 얘기가 아니다. 오래전부터 해외 건설에서 경쟁력 향상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제기돼왔다”며 “플랜트 중심이라는 사업의 편향성 그리고 시장 측면에서도 중동, 동남아시아 지역 중심의 수주 시장만 있다는 게 문제점으로 꼽혀왔다”고 지적했다.

주택 사업에만 집중·고부가 가치 사업 전환 실패 ‘발목’

미국 건설·엔지니어링 전문지 ‘ENR’이 발표한 세계 250대 건설사(2020년 매출 기준)에 중국 기업 78곳이 이름을 올렸다. 튀르키예(터키)도 40곳이 포함됐지만 한국은 11곳에 그친다. 이러한 해외 건설이 위축된 데에는 해외 건설시장이 국제경제 상황에 크게 영향을 받는 시장이라는 측면도 있지만 해외 건설시장에서 우리나라 건설의 실질적인 경쟁력이 저하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고부가 가치사업으로의 전환 시기를 놓친데다 해외 리스크를 회피한다는 이유로 국내 주택 사업에만 안주하는 사업 포트폴리오의 편향성도 해외 진출 확대의 걸림돌로 지적됐다. 강정화 수출입은행 선임연구원은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높은 국내 건설시장의 호황으로 경쟁이 치열하고 리스크가 높은 해외건설 수주에 대한 적극적인 수주 유인이 낮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손태홍 연구위원은 “수주 영역은 여전히 시공 중심의 사업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데 해외 건설시장에서 고부가가치 영역으로 등장하고 있는 투자개발사업 수주 비중은 여전히 6% 내외에 불과하다”며 “더욱이 최근 몇 년 사이에는 과거 해외 건설 수주에 적극적으로 나섰던 대형 건설사도 해외 건설보다는 주택사업과 같은 국내 사업에 집중해 왔다. 그만큼 해외 건설시장에 대한 매력도를 낮게 평가하고 있어 보다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해외 건설 지원 정책 추진이 필요한 상황이다”고 언급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무안공항 여객기 잔해
  • 시선집중 ♡.♡
  • 몸짱 싼타와 함께
  • 대왕고래 시추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