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영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26일 보고서에서 “리스크 패리티 펀드가 최근 자산군 간의 상관관계가 어긋나고 변동성(VIX) 지수가 급등한 데 따라 기계적 매도에 나섰다”며 “기계적 매도 물량 출회에 따라 최근 시장 변동성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2017년 국제통화기금(IMF)의 보고서(Global Financial Stability Report)에 의하면, 2017년 상반기 기준 글로벌 리스크 패리티 펀드의 AUM은 1500억~1750억달러이며, 리스크 패리티 펀드의 전략과 유사한 그외 변동성 타겟펀드(CTA, 변액 연금합산) 의 AUM(6600억달러)까지 합산하면 8000억달러를 상회한 규모다.
그러나 최근 금융시장의 자산군간 상관관계가 일거에 무너지면서 리스크패리티 펀드도 위험도에 노출됐다. 한 연구원은 “리스크 패리티 전략은 미국 신용등급 강등, 유럽 재정위기, 미중 무역분쟁 등 여러 대형 악재에도 불구하고 주식 채권, 기타 자산군과의 전통적인 상관관계가 크게 깨지지 않았기 때문에 한동안 잘 작동해 왔다”면서도 “2020년 2월 말 코로나 판데믹에서 기인한 금융시장의 패닉 셀링 현상으로 자산군들간의 상관관계가 갑자기 어긋나는 현상이 출현한 뒤 변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다만 이미 기계적 매도를 경험한 만큼 향후 시장이 안정화되면 더 탄력적으로 상승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한 연구원은 “코로나 판데믹 불안감이 완화될 경우 비이상적인 변동성 급등을 이유로 기계적인 주식 매도를 통해 현금 확보에 나섰던 리스크 패리티 펀드들이 반대로 기계적인 매수로 전환할 수 있다”며 “현시점에서는 주식과 채권 간의 상관관계 정상화 여부, 현재 50선을 상회하고 있는 S&P500 VIX 지수의 하항안정여부도 지속 모니터링 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