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행장은 지난해 31일 서울 중구 회현동 소재 우리은행 본점에서 이데일리와 2011년 신년 인터뷰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이 행장은 우리금융 민영화에 대해 "다양한 방안이 있을 수 있지만 세계 금융회사들의 지배구조인 과점주주방식으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기존 입장을 거듭 밝히면서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도 중요한 고려대상이지만 조기민영화를 통한 효율적인 금융시스템 구축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현실적인 대안`을 묻는 질문에 "PEF(사모투자펀드)나 기관투자자 등 (일정 규모 이상의 지분을 인수할) 투자자들에게는 프리미엄을 받고 소액주주나 (우리은행) 고객들은 시가 베이스로 지분을 매각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이 올해 역점사업으로 내세운 `가계부채 안정화`에 대해서는 "장기주택담보대출은 원금과 이자를 분할상환하는 방식이 맞지만 거치기간을 갑자기 연장하지 않게 되면 충격을 받을 수 있어 개인별 상환계획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어 "장기 고정금리 대출이나 원리금 분할상환 대출에 대해 보다 낮은 금리를 제공하거나 정부가 고객들의 대출 원리금에 대해 일정한도 내에서 소득공제를 신설해주는 것이 제도를 연착륙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이 행장은 올해 우리은행 경영목표에 대해 "대손비용이 축소되고 영업수익이 늘어나면서 순이익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며 "지난해 대비 50% 증가가 목표"라고 자신했다. 우리은행의 지난해 순이익은 1조2000억원 안팎에 달할 전망이다. 이를 감안할 때 올해 순이익은 목표는 1조8000억원 가량이다. 또 "펀드 방카슈랑스 신탁 카드 등 은행의 비이자 이익 비중을 지난해의 16%에서 20~30% 수준으로 확대하고, 무수익자산(NPL) 비율도 3% 수준에서 1%대로 낮추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우리은행 카드사업 분사에 대해서는 "정상적 환경에서는 카드 분사가 장점이 있다"며 지주차원에서 검토해 결정하겠지만 올해 분사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다만 "단기적으로 우리금융 민영화가 우선"이라며 우리금융 민영화 방향에 따라 분사시기가 결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금융권 현안인 `현대건설 매각`과 관련해 "시장에 불확실성을 주는 것은 좋지 않기다. 신속하게 매듭을 지어야 한다"면서도 `구체적인 해결방안`에 대해서는 "우선 법원의 판단을 기다려보자"며 신중한 모습이었다.
앞으로 현대건설과 같은 대형 M&A(인수·합병)에 대해 "(우선협상 대상자) 평가항목에서 가격보다는 비가격요소를 보강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본다"며 "주채권은행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주채권은행에 힘을 실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관련기사 ◀
☞김석동 금융위원장 "우리금융 민영화 올 상반기? 글쎄요…"
☞`김석동式` 금융정책 어떻게 달라질까
☞문동성 경남은행장 사임..행장 대행에 박영빈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