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aily] “1주일 동안이나 변을 못 봤더니 답답해 죽겠어요”
20대 중반인 김모씨(여, 회사원)의 하소연이다. 깔끔한 성격의 김씨는 깨끗하지 못한 회사화장실에서는 볼 일을 못 보기 때문에 늘 집에 있는 화장실을 이용한다. 하지만 아침에는 출근준비로 바빠서 일을 치르지 못하고 나오기 일쑤다.
이 경우 회사에서 일을 처리하는 것이 좋지만 워낙 신경이 예민하다보니 퇴근 이후로 다시 미뤄 놓는 바람에 적시에 대변을 볼 기회를 놓쳐서 1주일간이나 변을 묵히는(?) 불상사가 종종 발생하는 것이다.
요즘 들어 변비는 국민병으로 발전하고 있는 느낌이다. 불규칙한 생활, 채식을 멀리하고 육류를 가까이 하는 식습관, 과도한 스트레스 등으로 변비에 시달리는 사람이 주위에 의외로 많다. 젊은 여성 치고 변비에 좋다고 하는 다시마나 청국장가루를 한 번도 먹어보지 않은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다. 더욱이 근래에는 너나 할 것 없이 다이어트에 나서는 통에 변비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동의보감에서는 변비가 생기는 원인에 대해 "신장은 진액을 주관하는데 대변을 진액이 촉촉하게 적셔주면 대변이 잘 나오게 된다. 하지만 지나치게 소식하거나 과식했을 때, 고된 일로 피곤할 때, 또 뜨겁고 매운 음식, 고량후미(膏粱厚味: 기름진 음식)를 자주 먹으면 열이 진액을 상하여 대변이 딱딱하게 굳어져서 변비가 된다" 고 했다. 현대 직장인들과 비슷한 생활습관이 변비를 유발하게 한다고 봤던 셈이다.
한의학에서 변비가 생기는 원인은 대략 4가지로 나뉜다.
먼저 장위적열(腸胃積熱)로 맵고 뜨거운 음식을 많이 먹으면 대장에 열이 축적되어 수분이나 진액이 말라서 변이 딱딱해지기 때문에 변비가 생긴다는 것. 이는 열로 인한 변비이기 때문에 열비라고 한다. 입에서 구취가 심하게 나고 눈이 잘 충혈 되고 소변색은 짙다.
다음은 기기울체(氣機鬱滯)라고 하여 기가 정체되어 변이 제자리에 머물러서 오는 변비로 기비라고 한다. 주로 스트레스로 마음이 편치 않아서 간기가 뭉치는 바람에 생기는데 간기가 위로 올라오면 트림이 나고 옆구리나 복부가 그득하고 답답한 통증이 있게 된다.
기혈부족(氣血不足)은 주로 허약한 사람들에게 잘 생기는데 노인이나 산모, 수술 후, 큰 병을 앓고 난 후에 기력이 떨어져서 대장이나 소장의 기능이 약화되어 변비가 생기는 것으로 허비라고 한다. 무기력하고 쉽게 피로하고 얼굴색이 창백하다.
또 음한응체(陰寒凝滯)라고 하여 하초에 냉기가 돌면 양기가 하초로 들어가지 못해 진액이 얼어붙어 변비가 생기는 것으로 냉비라고 한다.
체질별로도 변비가 생기는 원인이 다르다. 소음인은 주로 위나 장의 기능이 떨어져서 오는 변비가 많고, 열이 많은 소양인은 열 때문에 진액이 말라서 생기는 변비로 볼 수 있다. 태음인은 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는 탓에 변이 장에 정체하여 생기는 변비가 많다.
체질별로 변비가 가장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열이 많은 소양인. 이제마 선생은 소양인은 대변을 잘 보아야 건강하고 병이 없다고 했다. 반면 사흘이상 변을 보지 못하면 가슴이나 횡격막으로 열이 올라서 위험한 상태에 빠지게 되므로 변비를 치료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했다.
변비에는 육식보다는 섬유질이 많은 채소나 과일을 먹는 것이 좋고, 백미보다는 현미, 보리밥 등이 대변량을 늘려 변비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물을 자주 마셔 대장이나 소장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도 변비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동의보감에서 변비에 좋은 음식으로 권하고 있는 것은 삼인죽(三仁粥). 이것은 도인 해송자인 한 홉에다 욱리인 4g을 함께 넣어서 찧은 뒤 즙을 짜서 여기에다 멥쌀가루를 넣어 죽을 쑤어서 빈속에 먹는다. 또 욱리인만으로 죽을 쒀서 먹어도 변비에 효능이 있다. 변비는 무엇보다 생활습관병인 만큼 변을 볼 생각이 없더라도 일정한 시간에 화장실에 들어가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고 하겠다. (예지당한의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