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aily 김홍기기자] 헨리 블로젯, 잭 그룹먼, 매리 미커. 이들은 한 때 미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인터넷, 통신 부문 애널리스트들이었다. 한 해 1000만 달러 이상을 받는 애널리스트로 젊은 금융인들의 선망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투자자의 소송으로 그 동안 쌓아올린 명성이 하루아침에 사라졌을 뿐 아니라 그 동안 모은 재산을 게워내야 하는 것은 물론 형사 책임까지 져야 할 지도 모르는 딱한 처지가 됐다.
물론 지금까지 리포트로 인해 처벌받은 애널리스트가 없다는 점 때문에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투자자들의 분노로 인해 금융당국이나 사법당국이 강경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높은 실정이다.
미국의 경제주간지인 비즈니스 위크는 최근호에서 왜 애널리스트들이 주식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는가를 해부하는 글을 커버 스토리로 다뤘다. 그리고 과도한 매수 추천은 투자은행 내부 시스템에 가장 큰 문제가 있으며 이것은 최근의 금융시장 전반의 이상 현상 때문이었다고 진단했다.
비즈니스 위크는 작금의 위기상황이 과거 어느 때보다 더 심각하다고 주장한다. 1980년대의 마이클 밀켄의 정크 본드 스캔들이나 1990년대 초반의 프루덴셜 증권의 파트너쉽 붕괴, 1990년대 후반의 나스닥 주가조작보다 더 심각하다는 것. 최근의 시장 붕괴로 인해 돈을 잃은 투자자들이 과거 스캔들이 일어났을 때 보다 더 많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한마디로 적을 많이 만들었기 때문에 이번 스캔들에서 빠져나가기가 쉽지 않다는 얘기다.
비즈니스 위크는 투자은행에 대한 투자자들의 실망이 애널리스트와 투자은행 자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라고 말했다. 경제라는 것이 자본을 모으고 할당하는 금융 시스템에 의존하고 있고, 이 금융시스템은 신뢰할 수 있는 정보에 기반해서 구축됐기 때문에, 정보에 대한 신뢰 상실은 약세장을 더 깊게 하고 더 길게 끌고 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 무슨 연유로 애널리스트들이 낙관적인 전망을 남발했는가. 이에 대해 비즈니스 위크는 외부 환경으로는 1990년대 후반에 일어났던 하이테크 거품에서 원인을 찾고 있다. 하이테크 거품이 일면서 과거에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었던 새로운 거대 시장이 형성됐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시장은 매우 수익도 좋은 시장이라 투자은행들이 대거 참여할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결국 골드 러시에 참여하기 위해 월가의 투자은행들은 경험없는 애널리스트와 투자은행 부문에서 일할 직원들을 대거 채용했다. 이익을 내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매출액 증대였고, 매출액 증대는 신규 직원 채용이라는 손쉬운 방법을 통해 달성하면 됐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개인들이 대거 주식시장에 진입하면서 금융시장에는 새로운 독특한 현상이 자리를 잡게 됐다. 애널리스트들이 CNBC나 여타 미디어를 통해 매수 추천을 하면 투자자들이 주식을 사는 일이 일어난 것이다.
또 애널리스트의 보수 체계도 이러한 현상을 만든 공범이라고 비즈니스 위크는 밝혔다. 애널리스트의 임금이 얼마나 많은 투자은행 비즈니스 건을 물어오느냐에 연계돼 있었다는 점이 문제의 핵심이라는 것.
애널리스트들은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더 많은 기업을 물어와야 했는데, 그 기업은 애널리스트들에게서 호의적인 리포트가 나오기를 원했고, 애널리스트들은 그렇게 해줬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퍼스트 콜의 리서치 디렉터인 척 힐은 “과거에는 애널리스트의 임금이 케이크의 크림 일부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케이크 자체가 됐다”고 말한다. 주객이 전도된 상황이 빚어졌다는 말이다.
물론 애널리스트만이 월가를 곤경에 빠뜨렸다는 것은 과장된 말일 수 있다고 비즈니스 위크는 지적했다. 쉽게 잘 속아넘어가는 투자자와 지갑을 두둑하게 부풀리기를 원하는 경영진, 투자은행 부문의 직원 모두가 공범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지금의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얘기가 된다.
비즈니스 위크는 마지막으로 지금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신뢰 회복이라고 지적했다. "투자은행 산업은 신뢰의 산업이며 신뢰가 주요 자산의 하나다. 만약 월 스트리트가 신뢰를 잃어버리면 그곳에는 아무것도 남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