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인용·고인준 교수팀이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서울성모병원에서 내반변형이 동반된 267례의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하면서 내반변형 정도에 따라 새로운 3단계 이완방법을 적용하여 수술 후 1년동안 경과를 분석한 결과, 환자들의 통증이 감소하고 내반변형이 교정되어 보행과 운동 등의 정상적 활동을 가능하도록 무릎관절의 기능을 회복하였음을 확인했다.
인 교수팀은 수술 시 무릎관절을 유지하거나 움직여 주는 관절낭, 인대, 힘줄, 근육 등 뼈 외의 연부조직의 균형을 맞추는데 주력하였다. 대부분 무릎 관절염 환자는 심한 통증과 변형으로 무릎관절을 제대로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연부조직이 굳어있다.
특히 내반변형이 심한 환자는 다리가 안쪽으로 활처럼 오그라드는 관절 구축이 있다. 연부조직을 일자로 똑바로 풀어주지 않으면 수술을 받았어도 무릎을 움직이는 범위가 제한되며, 과하게 교정하면 연부조직에 손상을 입혀 무릎에 불안정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해부학적으로 과하지도 덜하지도 않게 정확하게 측정하며 수술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릎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구성하는 연골과 그 주위의 뼈, 근육, 활액 등에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면서 생기는 관절염으로 주로 체중을 많이 받는 부위에 생기며 방치할 경우 관절의 변형까지 초래하는 질환이다. 근본 원인은 무릎의 완충 역할을 하는 관절 연골의 손상이며 가장 흔한 기전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스럽게 무릎 관절 연골이 마모되는 것이다. 게다가 한 번 손상된 관절 연골은 예전처럼 회복되지 않는다.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은 이처럼 연골이 다 닳아 없어지거나 거의 형태만 남아 있는 퇴행성 관절염 말기 단계에서 무릎 관절 관절염의 마지막 치료로 적용할 수 있으며, 손상된 관절을 제거한 뒤 특수 금속과 플라스틱 재질로 된 인공 관절을 삽입하는 수술이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의 40%는 X-ray, MRI, CT 등 방사선학적 검사 소견상 무릎 관절염이 관찰되고, 25%는 무릎 관절염 치료를 받고 있으며, 7%는 무릎 인공관절치환술이 필요한 중증환자이다.
인용 교수는 “그 동안 내반변형 환자의 무릎 인공관절 수술의 정립된 방법이 없었기에, 내측 연부조직 이완술의 새로운 치료법을 소개한 이번 연구가 내반변형이 동반된 무릎 인공관절 수술을 시행하는 의사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인공관절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미국 인공관절학회지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