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 5개국의 재정위기에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었다. 지하경제의 발달로 세수기반 자체가 취약하고, 부동산 거품이 붕괴되면서 금융기관이 부실화됐다. 또 과다한 복지혜택으로 근로의욕이 떨어지고 수출경쟁력도 약했다.
◇ 지하경제→세수기반 약화
유럽 재정위기의 시발점이었던 그리스는 지하경제의 비중이 국내총생산(GDP)의 24.7%에 달했다. 지하경제는 과세기반 약화로 이어져 재정확보를 어렵게 했다. 유로존 3위 경제국인 이탈리아도 지하경제 비중이 높다. 지하경제 비중이 GDP대비 21.7%로 그리스보단 작지만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의 평균치(13.6%)보단 높았다.
◇ 부동산 거품 붕괴→금융기관 부실
아일랜드는 1999년 유로존에 가입한 이후 국채이자율이 하락함(자금조달비용 감소)에 따라 발생한 과잉유동성이 부동산 거품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경제위기는 부동산 거품을 꺼뜨렸음은 물론, 은행부실까지 초래했다. 지난해 은행 부실채권비율은 10%로 EU국가 중 최고였다. 아일랜드는 GDP대비 29% 수준의 자금을 은행에 투입했다.
스페인 고용창출의 주요 원동력은 건설 산업이었다. 그러나 부동산 거품이 붕괴되자 실업률이 상승했고, 주택시장에 자금을 공급했던 저축은행은 부실화됐다. 저축은행의 부실채권은 2007년 말만해도 0.89%였으나 2009년 말에는 5.34%로 급증했다. 결국 2009년 6월 990억유로의 은행구조조정기금이 조성되면서 국가채무도 급격히 증가했다.
◇ 복지혜택은 최고→"위기 났어도 못 줄여" 재정위기가 초래된 원인 중 하나는 과다한 복지혜택이다. 한 번 뿌려진 복지는 재정위기로 나라가 망할 위기에 처했어도 쉽게 없애지 못했다.
포르투칼은 재정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난해 재정긴축 프로그램을 도입했지만 실업수당과 의료비 지출을 줄이는 데 실패했다. 그 결과 지난해 1월~10월까지의 재정적자는 119억유로로 전년동기(117억유로)보다 오히려 늘어났다.
◇ 만성화된 低성장..경쟁력無
제조업 기반이 취약해 경상수지 적자에도 시달렸다. 스페인의 경상수지는 1990년 GDP대비 -3.5%에서 2007년 -10.0%로 늘어났다. 포르투칼 역시 제조업 기술수준이 낮아 경상수지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이탈리아는 2002년~2006년까지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이 0.9%로 유로지역의 평균치(1.7%)를 밑돌았다. 외국인 투자기업에 의존하던 아일랜드는 2004년 임금상승 등으로 외국인 투자가 빠져나가자 수출경쟁력이 약화돼 잠재성장률이 지난해 마이너스(-0.3%)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