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비대위 성립 요건과 비대위원장 선임 관련 당헌·당규 해석을 놓고 이견이 있는 상황. 이준석 당대표 측의 반대 의견도 거세 비대위 구성까지는 당내 진통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
이날 권성동 대행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당이 엄중한 위기에 직면했고 국민의 뜻을 충분히 받들지 못한 데 대해 당대표 직무대행으로서 책임을 통감한다”며 당대표 직무대행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이는 이준석 대표에 대한 당 중앙윤리위원회 중징계 이후 권성동 원내대표가 당대표 직무대행까지 맡는 안이 지난 11일 의원총회에서 추인된 지 20일 만이다.
권 대행은 “여러 최고위원 분들의 사퇴 의사를 존중하고 하루라도 빠른 당의 수습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같이 한다”며 “조속한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에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했다.
|
지난 29일엔 박수영 의원을 비롯한 국민의힘 초선 의원 32명도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을 촉구하는 ‘연판장’을 작성해 당 지도부에 전했다. 국민의힘 초선 의원 전체가 63명인 것을 고려하면 과반이 의견을 같이 한 셈이다.
이같은 사태는 권성동 ‘원톱’ 체제에 대한 반발이 커지면서 벌어졌다. 대통령실 9급 직원 ‘사적 채용’과 윤석열 대통령이 권 대행에게 보낸 ‘내부 총질이나 하던 당대표가 바뀌니 달라졌다’는 메시지 공개 등 잇딴 구설수는 권 대행 리더십에 대한 의구심으로 이어졌다.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 지지율도 하락하며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 주장에 힘을 보탰다.
|
문제는 비대위 구성 요건이다. 국민의힘 당헌상 비대위는 ‘당대표 궐위’ 혹은 ‘최고위원회의 기능 상실’ 요건을 충족할 때 구성할 수 있다. 이 대표 징계는 이미 궐위가 아닌 사고로 정리됐다. 다른 요건인 최고위원회의 기능 상실이 성립돼야 한다. 앞서 2011년 국민의힘 전신인 한나라당 당시 홍준표 당대표를 포함한 최고위원 5명이 사퇴해 ‘박근혜 비대위’가 들어섰던 전례가 있다.
다만 이준석 대표 측 반발이 상당할 것으로 관측된다. 비대위 체제 전환 이후 조기 전당대회로 이어진다면 이 대표의 복귀 자체가 무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날 이 대표는 자신의 SNS에 “저 자들의 우선순위는 물가 안정도, 제도 개혁도, 정치 혁신도 아닌 각각의 이유로 당권 탐욕에 제 정신을 못차리는 나즈굴과 골룸”이라는 글을 올리며 당 내분 사태를 저격했다.
이에 이준석 대표 측근으로 분류되는 김용태 최고위원은 “‘초유의 상황’ ‘비상상황’이라는 수사를 내세워 원칙을 저버리고 당을 제멋대로 운영해선 안된다”며 최고위원직에서 사퇴할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조수진 의원도 “제가 분명히 ‘비대위로 가려면 전원이 사퇴해야 하는 수밖에 없다’는 말씀을 드렸다”고 했다.
비대위 구성 과정도 난제다. 당헌상 비대위원장은 전국위원회 의결을 거쳐 당대표나 당대표 권한대행이 임명토록 돼 있다. 그러나 현재 권 대행은 당대표 직무대행이고, 그마저도 이날부로 사퇴했다. 임시 지도체제인 비대위가 이후 조기 전당대회로 이어질지, 혹은 내년 1월 복귀하는 이 대표를 대행할지도 논의가 필요한 사안이다. 이 때문에 결국 ‘윤심’(尹心)에 따라 당 체제 향방이 정해지리란 분석이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