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황현규 기자] 전문가 절반 이상이 주택 시장 침체가 1~2년 후 회복할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현재 주택시장의 규제가 과도하다는 데 절반 가까운 전문가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6일 서울 강남구에 부동산 중개업소 모습. (사진=연합뉴스 제공) |
|
26일 주택산업연구원(이하 주산연)이 부동산시장 전문가 151명을 대상으로 주택 시장 전망을 설문 조사한 결과 50.8%가 “향후 1~2년 간 급락 후 점진적인 회복을 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심지어 1년 이내에 회복할 것이라는 응답도 적지 않았다. 응답자 30.6%가 “올해 말까지 단기 급락 후 내년 상반기부터 회복세로 전환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 당시를 비교해 볼 때 주택 시장 침체가 최소 3년 이상 지속될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응답자 18.8%는 “3~5년이상 침체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 주산연 연구에 따르면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아파트매매가격은 1년동안 전국적으로 18% 급락했다. 이후 종전수준 까지 회복하는 데 3년이 걸렸다. 2008년 금융 위기 당시에도 서울 아파트값은 5년동안 9%까지 점진적으로 하락하다, 이후 종전수준으로 회복하는데 3년이 소요했다.
특히 무역의존도가 큰 우리나라 경제구조상 국내의 코로나 사태가 조기에 진정된다고 하더라도 해외 상황이 진정될 때까지는 침체국면의 역전이 어려울 것이라는 게 주산연의 설명이다. 주산연은 “코로나19의 영향이 97년 외환위기 이후의 양상을 띨지 아니면 2008년 금융위기 이후의 양상을 보일지 여부는 아직은 불투명하다”면서도 “과감한 선제적 대응이 없으면 시장 상황은 최악으로 갈 수도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서울 강남 일대 아파트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제공) |
|
또 전문가 중 절반은 현재의 주택시장 규제가 과도하다는 데 동의했다. 주택시장 규제에 대한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 중 49.3%가 “전반적으로 시장경제의 기본원리를 저해하는 너무 과도한 상태”라고 답했다. “대출규제, 종부세 등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정책은 시장 진정을 위해 적정하다”는 응답은 34.4%, “시장 정상화를 위해 대부분이 필요한 정책”이라는 응답은 16.4%를 나타냈다.
주산연은 “코로나19 이후 주택 시장 대책은 수십차례의 더듬기식 활성화대책이 아닌 종합적인 정책으로 나와야한다”며 “5월중 1단계로 우선 대책을 시행하고 코로나19와 시장추세를 보아가며 6개월 뒤인 11월쯤 2단계 대책을 과단성 있게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라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