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실업률 상승, 하락 등 충격이 반복돼 누적될 경우 자연실업률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기준금리 인상, 인하 등의 통화정책이 고용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중앙은행의 책무에 ‘고용안정’을 추가하는 데 힘을 실어주는 분석이다.
| 로렌스 볼 존스홉킨스대 교수 (출처: 한국은행) |
|
로렌스 볼 존스홉킨스대 교수는 2~3일 한국은행이 주최한 ‘BOK 국제컨퍼런스’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자연실업률 추정치를 이용한 실업률 이력현상 분석’이라는 제하의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에 따르면 2002~2019년 자연실업률 추정치를 이용해 OECD 29개국의 실업률 등을 분석한 결과 실업률이 충격을 받아 변동하면 자연실업률도 실업률이 이동한 방향으로 영구적으로 조정되는 현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실업률은 완전 고용을 유지하는 상태에서도 지속되는 실업률로 ‘정상 실업률’이라고도 불린다.
분석 결과 실업률이 장기추세선으로부터 1년간 1%포인트 만큼 벗어난 경우 자연실업률은 0.16%포인트 만큼 같은 방향으로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률이 양의 충격을 받아 오를 경우보다 음의 충격을 받아 하락할 경우 자연실업률이 더 크게 변동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동안 통화정책을 포함한 총 수요 결정 요인이 자연실업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선 거시경제학 내에서 상반된 의견이 많았다. 기존 주류 거시경제학에선 노동시장의 불완전성에 따라 자연실업률이 결정되므로 통화정책이 자연실업률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주장한 반면 일부 경제학자들은 실업률의 단기 변동이 자연실업률을 변화시킨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이번 논문은 중앙은행이 책무로 ‘고용안정’을 추가해 통화정책으로 실업률을 변화시킬 경우 자연실업률 또한 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