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佛 “스포츠는 그 자체로 평가받아야”…장관급 파견
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장 미셸 블랑케 프랑스 교육체육부 장관이 현지 언론인 BFM TV와의 인터뷰에서 “베이징 올림픽의 외교적 보이콧에 프랑스는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그는 “스포츠는 그 자체로 평가받아야하며 정치적 간섭으로부터 보호돼야 한다”라고 불참 이유를 설명했다.
프랑스는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는 록산느 마라시내누 스포츠부 장관이 대표로 파견할 예정이다. 사실상 러시아를 제외하고 장관급 이상 인사를 베이징 올림픽에 보내기로 결정한 주요국은 프랑스가 유일하다. 앞서 영국, 캐나다 등 다른 주요 7개국(G7) 국가들은 속속 베이징 올림픽의 외교적 보이콧을 밝힌 상황이다.
다만, 각국은 미국이 중국과의 신(新) 냉전 구도에서 자신의 우방국을 재차 확인하려는 움직임으로 읽고 있다. 반중 압박에 동참하라는 미국의 메시지가 거세지는 반면, 경제적으로 중국의 무역 비중이 높은 한국과 같은 국가들로서는 여느 때보다 고민이 깊을 수밖에 없단 설명이다.
美 중심 세계질서 거부…파리 올림픽 고려한 결정이란 해석도
미국과 프랑스의 엇박자 행보는 지속적으로 감지돼왔다. 앞서 프랑스와 영국은 미국·영국·호주가 함께 창설한 3자 안보 동맹인 오커스 문제로 진통을 겪었다. 당시 미국과 영국은 호주에 기밀로 취급되는 핵잠수함 건조법을 제공하겠단 의사를 밝혔다. 이에 따라 호주는 프랑스로부터 디젤 잠수함을 사들이려는 계획을 철회했고, 프랑스는 미국과 영국이 동맹국에 칼을 꽂았다며 거세게 반발했다.
한편에선 프랑스가 2024년 파리 하계 올림픽을 개최할 예정이라 올림픽 보이콧이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프랑스가 이번에 대표단을 파견하지 않을 경우, 중국 또한 파리 올림픽에 어떤 형식으로든 보복을 가할 것이란 이유에서다. 실제로 2026년 동계 올림픽을 준비 중인 이탈리아 또한 외교적 보이콧에 불참할 것을 선언한 바 있다.
다만, 베이징 올림픽 특사 파견 여부와는 별개로 프랑스 또한 중국의 인권 탄압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번 외교적 보이콧 불참이 결코 중국의 인권 유린 문제에 동조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 셈이다.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EU의 공식적 입장을 촉구하는 것 또한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을 거부한 데 따른 외교적 리스크를 줄이려는 움직임으로 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