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증의 경우 소아 청소년에서의 누적 유병률은 약 10-20%정도에 달하는데 다시 말해서 10명 중 1명 이상은 이미 소아 청소년 시기에 불면증을 경험한다는 것이다. 불면증 이외에도 코골이(수면무호흡증), 과수면증(기면증), 사건수면(몽유병) 등이 이 시기에 흔히 진단되는 수면장애들이다.
수면장애의 진단은 일차적으로 병력 청취라고 불리우는 환자의 자세한 증상 보고로부터 시작되며, 필요시 야간수면다원검사나 수면잠복반복검사 등의 보다 정밀한 진단을 위한 추가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병력 청취 과정에서 소아 청소년의 경우 동반한 부모가 환자를 대신하여 증상을 설명해주는 경우가 흔한데 이때 환자 자신과 동반한 부모 사이에 증상의 정도에 대한 상당한 불일치가 존재할 수 있다. 즉 부모가 자녀의 증상을 부정확하게 인식하여 증상을 축소해서 이야기하거나 반대로 과장해서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청소년기에는 대부분 부모와 독립된 방에서 잠을 자기 때문에 부모가 환자의 수면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들 수 있다.
불안장애, 발달장애의 경우에도 기분 장애의 경우와 비교해 정도는 덜 하지만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어떤 정신과 진단을 받았는지에 따라 반대의 결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적대적 반항 장애나 품행장애 등 행동 문제가 주 증상인 청소년들은 도리어 어머니가 더욱 적극적으로 수면장애를 보고하였는데, 이는 이러한 환자들이 원활히 자신의 증상을 표현하기 어려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진은 심리적 문제를 가진 청소년들을 평가할 때 부모님으로부터 만 정보를 획득한다면 수면 문제가 충분히 밝혀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청소년 본인을 대상으로 한 상세한 면담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