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환 블로코 공동대표는 최근 이데일리 기자와 만나 블록체인의 전망에 대해 설명했다. 데이터를 분산으로 처리하면서도 신뢰를 유지하는 것이 블록체인 기술의 특징이다. 이 같은 개념은 과거에도 있어왔지만 최근 ‘블록체인’이라는 이름이 붙여지게 된 것이다.
김 대표는 “인터넷이 ‘정보의 바다’라면 블록체인은 ‘인터넷 등기소’다”라며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등기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즈니스와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프라다”라고 말했다.
|
김 대표는 블로코를 창업하기 전에 비트코인 거래소를 만들고 엑싯(exit)한 경험이 있다. 이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비트코인보다는 블록체인 원천기술의 전망성을 높이 보고 중학교 동창과 함께 2014년 12월 블로코를 설립했다.
클라우드 기술을 일반 사람들이나 기업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드롭박스’와 같은 툴이 필요하듯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서도 플랫폼이나 툴이 필요하다. 블로코는 기업들이 블록체인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플랫폼 ‘코인스택’을 개발·운영하고 있다.
블로코는 올해 초 경기도와 함께 따복공동체의 주민제안 공모사업 심사 온라인 투표시스템에 블록체인을 도입했다. 블록체인으로 어떻게 투표를 할까.
김 대표는 “비트코인 대신 투표코인을 한 사람에게 1코인씩 나눠준다. 후보자 계좌를 하나씩 만들어주고, 투표자들이 원하는 후보자 계좌에 1코인씩 송금을 하는 방식이다”라며 “블록체인을 활용한 스마트그리드, 사물인터넷(IoT) 보안 등도 다 같은 컨셉이다. 어떤 데이터를 어떤 형식으로 정의하고 인식하느냐에 따라 서비스 모양이 다른 것”이라고 했다.
이는 블록체인의 특징 중 하나인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로 향후 전자정부에 활용이 가능하다. 블록체인이 좀더 활성화되고 발전하면 중앙관리기관 없이도 투표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우리나라·아시아, 블록체인 발전에 좋은 환경
그는 “실제로 블록체인 글로벌 표준을 만드는 기관에 국내 교수들도 의장직을 맡을 정도로 국내 기술이 인정받고 있다”면서 “블록체인 기술은 국내 뿐 아니라 모든 나라가 초창기이기 때문에 같이 발전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고 말했다.
블록체인은 여럿이 쓸수록 효용성이 높아져 해외에서는 여러 기업들이 모여 컨소시엄을 만들었다. 하지만 각자의 생각이 달라 잘 되지 않고 있다.
김 대표는 “불행 중 다행으로 아시아는 다수의 계열사를 소유하고 있는 대기업이 많아서 오히려 블록체인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면서 “아시아가 블록체인 인프라가 강점이 많아 미국보다는 아시아를 선택했으며, 아시아권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블로코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자 한다”고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