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경제전문가들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1.3%로 전망했다. 미국 등 주요국들의 성장이 양호함에 따른 수출 개선 기대와 순수출(수출-수입) 성장 기여도 회복에 힘입어 미약하지만 성장세를 보일 것이란 분석이다. 다만 내년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은 커졌다. 최근 대두되고 있는 중국 부동산발(發) 리스크로 내년 성장률이 하향조정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0일 이데일리가 국내 증권사 애널리스트와 경제연구소 연구원 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는 1.3%(중간값)로 집계됐다. 석 달 전 이데일리 조사 결과(1.2%)보단 0.1%포인트 상향조정됐지만, 2000년대 들어 2009년 금융위기(0.8%)와 2020년 코로나19 위기(-0.7%)를 제외한 최악의 성적표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위원은 “올해 예상한 것보다 선진국 성장이 양호하다는 점에서 하반기 국내 수출경기 개선 기대감이 상향됐다”며 “중국 경기위축과 국내 재정지출 축소, 부동산 위험 등에 따른 하방 위험이 존재하나 정책적 대응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위원은 “‘불황형 흑자’이긴 하겠지만, 순수출 성장기여도 회복에 힘입어 1% 초반 이상 성장이 가능한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미국 경제는 올 4분기부터 완만한 침체에 빠질 것이란 예상이 상반기까지만 해도 우세했었지만, 최근 연착륙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주요 해외투자은행(IB)들은 올 4분기와 내년 1분기 성장률 전망 평균치를 지난달말 각각 -0.5%, -1.1%로 전망했으나, 이번달초 각각 0%, -0.8%로 상향조정하며 경기침체 전망을 철회했다. 고금리에도 불구하고 소비와 투자가 비교적 견고하단 평가다.
우리나라 6월 경상수지는 58억7000만달러 흑자를 기록, 두 달째 흑자를 보였다. 특히 상품수지가 39억8000만달러 흑자를 보이며 3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기록했다. 수출 개선이 동반되지 않은 ‘불황형 흑자’ 지적이 제기되곤 있지만, 한은은 경상수지 흑자 행진이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지난 10일 올해 성장률을 1.5%로 예상하며 ‘상저하고(上低下高)’ 전망을 유지했다.
다만 최근 위기론이 제기되고 있는 중국 부동산발 리스크가 변수로 꼽힌다. 당장 우리 경제에 미치는 파장은 제한적이겠지만, 향후 상황 변화에 따라 내년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각이다. 골드만삭스·JP모건 등 해외IB들은 지난달말 기준 우리나라 내년 성장률 전망치 평균을 1.9%로 예측했다. 한 달 전 이들의 전망치는 2.0%였지만 0.1%포인트 하향조정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6일 기자 간담회에서 “중국 경제 불안이 장기화되는 등 외부 불안 요인이 커지면 경제 전망을 다시 수정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올해 물가상승률을 3.4%(중간값)로 전망했다. 석 달 전 전망(3.5%)보다 0.1%포인트 낮춰 한은 전망치(3.5%)도 밑돌았다. 원자재 가격 불안, 공공요금 인상 이슈 등 상방 압력이 잠재해 있지만, 한은 전망 경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란 판단이다. 윤여삼 연구위원은 “농산물과 에너지, 공공요금 인상으로 7월까지 예상보다 낮아진 반작용이 있을 것이나 기존 예상했던 경로를 크게 이탈할 정도의 부담은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