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지난 25일 현대차 노조가 쟁의행위(파업) 찬반투표에서 참여 인원 기준 91.7%로 찬성을 가결한 데 따른 것이다. 현대차 노조는 이번 투표에서 창립 이래 최초로 전자투표 방식을 채택하며 재적 인원(4만4538명) 대비 파업 찬성률 88.93%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노조 측은 이를 “올해 임단협 투쟁 승리에 대한 조합원들의 높은 열망을 나타낸 결과물”이라고 설명했다.
쟁점 떠오른 정년연장…산업계 ‘주시’
현대차 노사 분규의 핵심 쟁점으로 떠오른 것은 정년 연장이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6월 임단협 교섭에 돌입하며 기본급 18만4900원 인상을 비롯해 전년도 순이익 30%(주식 포함)를 성과급으로 지급할 것, 상여금 900% 지급, 각종 수당 인상·현실화 등과 함께 현재 만 60세인 정년을 최장 만 64세로 연장할 것을 요구했다. 정년을 국민연금 수령 시기와 연동해달라는 것이다.
|
실제 경영계에서는 정년 연장에 대한 사회적 여론이 형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단일 기업이 이를 시행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생산직 고령화 상황에서 마찬가지로 정년 연장을 임단협 쟁점으로 제시한 기아, 포스코 등 다른 기업에 미칠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산업계는 또한 생산 전동화 전환으로 필요한 생산 인력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정년 연장을 통해 고용을 유지하는 것이 부담일 수 있다는 점도 지적한다. 한 산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완성차 업체뿐만 아니라 제조업 전체가 전동화하는 과정에서 (생산직) 유휴 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하반기 ‘피크아웃’ 우려 있는데…생산차질 더해질까
올 하반기 고물가·고금리로 인한 글로벌 경기 둔화에 업계 내 선두 경쟁까지 더해지면서 현대차 실적에 대한 의구심은 커지고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북미 지역 인센티브 확대로 인한 수익성 둔화, 전 세계적인 완성차 가격 하락 흐름에 따른 판가 하락 가능성을 점쳐 왔다. 이로 인해 현대차의 평균판매단가(ASP)가 내려가면서 수익성이 악화하는 게 아니냔 우려가 상존했다.
이와 관련해 업계 관계자는 “하반기 장기화하는 인플레이션과 고금리 누적으로 경기 침체 하방 압력이 커지고 있어 글로벌 자동차 산업 전망이 좋지 않다”며 “대승적 차원에서 회사와 노조가 서로 양보하며 교섭을 타결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