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에 따르면 백석예술대 외식산업학과 김수진 교수가 조선 왕의 사망 원인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김 교수는 논문에서 “조선 왕의 평소 질병과 사인 중 가장 흔했던 것은 지금은 가벼운 질환이라 할 수 있는 종기였다”며 “소독약ㆍ항생제가 없었던 시절에 종기는 생명을 위협하는 무서운 질병이었다”고 기술했다. 문종ㆍ성종ㆍ효종ㆍ정조ㆍ순조 등이 종기에 이은 패혈증으로 숨졌다.
조선 왕은 의외로 목욕을 자주 하지 않는 등 개인위생 상태가 나빴다. 날씨가 쌀쌀할 때 옷을 벗으면 풍기가 엄습해 병이 생긴다고 여겨서다. 특히 온천욕 등 온수 목욕을 하면 진액이 빠져 원기가 손상돼 건강에 해롭다고 생각했다.
김 교수는 논문에서 “조선 왕의 불결한 위생습관은 후궁이 많았던 왕에게 성병ㆍ감염병을 유발한 원인이었다”고 강조했다. 대부분의 조선 왕은 과다한 업무와 스트레스로 인해 운동을 거의 하지 않고 정원을 산책하는 정도였다. 심한 스트레스, 지나친 음식섭취, 운동 부족도 조선 왕의 건강을 해쳤다. 왕의 운동 부족과 비만은 혈액성 염증질환을 불렀다.
여러 후궁을 거느린 조선의 왕은 건강에 해로울 정도로 여색에 빠져 피로가 누적됐을 뿐 아니라 성병 등 건강에 해를 입었다. 조선 왕의 비와 후궁의 수는 태종ㆍ성종 12명, 중종 10명, 정종ㆍ선조 8명이었다. 자식 수도 세종 32명ㆍ태종 29명ㆍ성종 28명ㆍ선조 25명ㆍ정종 23명 순이었다.
조선 왕조의 유전 탓에 단명했다는 일부의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김 교수는 주장했다. 김 교수는 논문에서 “문종(39세)ㆍ단종(17세)ㆍ예종(20세)ㆍ성종(38세)ㆍ연산군(31세)ㆍ인종(31세)ㆍ명종(34세)ㆍ현종(34세)ㆍ경종(37세)ㆍ헌종(23세)ㆍ철종(33세) 등 단명한 왕은 자신의 부모ㆍ조부ㆍ조모보다 훨씬 빨리 숨졌다”며 “왕조의 유전 때문에 단명한 것으론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조선의 왕보다 왕자의 평균 수명은 더 짧았다. 왕자의 평균 사망나이는 38.6세인데 이중 살해됐거나 20세 전에 숨진 왕자를 빼면 평균 사망나이는 45.3세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음식과 질병을 통해 본 조선왕들의 생로병사에 관한 연구)는 한국외식산업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