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송은 조선시대 궁궐용 목재나 왕실의 목관을 만드는 데 쓰였던 '귀족' 나무다. 조선시대 땐 전국 곳곳에 이 금강송의 벌목을 금하는 봉산(封山) 표석을 설치했는데, 이곳 소광리에도 이 표석이 남아 있다.
■ 못생겨도 살아남고… 잘생겨도 살아남고
소광리 금강송 숲이 위치한 곳은 삼척과 울진의 경계를 이루는 응봉산·삿갓재 남쪽 자락이다. 검푸른 소나무가 숨 막힐 듯 에워싼 이 드넓은 숲(1610㏊)에 살고 있는 나무들의 평균 나이는 무려 150살. 200살이 넘는 소나무는 8만 그루에 이른다. 520살이나 먹은 할아버지 소나무도 두 그루나 있다.
숲 초입으로 들어서자 홀로 하늘을 받치고 서 있는 520살 먹은 할아버지 나무 한 그루가 모습을 드러냈다. '나무해설도감' 윤주복씨가 넌지시 물었다. "저 녀석은 어떻게 저렇게 오래 살았을까요?" "그, 글쎄요." 윤주복씨가 씩 웃었다. "'등 굽은 나무가 선산을 지킨다'는 말이 있죠. 잘생겼다면 사람들이 가만두지 않고 베어갔겠죠?"
|
산책로 끝엔 350년 된 미인송도 한 그루 서 있다. 못생겨서 살아남은 할아버지 나무와 달리 이 녀석은 워낙 잘생겨서 보호 받고 자란 나무. 높이는 35m, 가슴높이 지름은 82㎝에 이른다. 어떤 놈은 못나서 오래 살기도 하지만, 또 어떤 놈은 잘나서 목숨을 부지하기도 하고…. 세상 살아가는 방법도 참으로 가지가지인 게다.
■ 참나무도 반한 금강소나무
숲 중턱엔 공생목(共生木)이 있다. 왜 공생목인고 하니, 80살 먹은 참나무와 120살 먹은 금강소나무가 글쎄 나란히 서 있는 걸로는 모자랐는지 '턱'하고 몸을 붙여버렸다. 흔히들 연리목(連理木)이라고 부르는 현상이다.
■ 금강송 숲… 여기서 만나세요
금강송 숲은 울진 소광리(054-789-6820) 외에도 강원도 삼척 준경묘 일대(삼척시청 문화공보실 033-570-3221), 경북 영양 검마산 자연휴양림(054-682-9009), 봉화 고선·대현리 소나무숲(054-635-4253)에서도 만날 수 있다.
▶ 관련기사 ◀
☞''다홍빛'' 문수사, ''샛노란'' 부석사
☞생강나무 ''울긋''…당단풍나무 ''불긋'' 화려함의 대표주자들
☞숲, 낯선 色界에 빠져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