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2차 북미회담 예의주시…25일 靑수보회의에 쏠리는 눈
‘베를린구상’으로 상징되는 문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구상은 평창 동계올림픽을 전후로 북미대화의 물꼬를 텄다. 이어 4.27 남북정상회담 →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 9.19 평양정상회담으로 이어지며 꽃을 피웠다. 다만 ‘디테일의 악마’에 빠진 북미간 후속협상이 지지부진하게 이어지면서 속도를 내지 못했다.
문 대통령은 주말 동안 공식일정 없이 2차 북미회담 동향을 예의주시했다. 지난해 6월 싱가포르에서 역사적 만남 이후 북미정상간 회동이 재개되면서 한반도 평화체제의 중대 분수령이 눈앞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주말 동안 외교안보라인 참모들로부터 김정은 위원장의 베트남행, 북미 실무협상 진전내용 등 베트남 현지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문 대통령은 25일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를 통해 2차 북미회담에 대한 입장과 원칙을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하노이 담판 이후 북미중재 본격화…金답방·한미정상회담 최대 변수
문 대통령의 상반기 외교일정에는 김정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만남이 각각 예고돼 있는 상태다. 지난 연말 설왕설래만 무성했던 김 위원장의 서울답방은 곧 가시권이다. 2차 북미회담 직후 한미정상간 통화에 이어 정상회담 재개 가능성도 높다. 핵심은 ‘남북경협 활용론’이다. 영변 핵폐기 등 북한의 비핵화 추가 조치에 따른 상응조치를 우리 측이 부담한다는 것이다. 북측에는 ‘제재 해제’라는 실익을, 미측에는 ‘협상력 제고’라는 카드를 선물할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앞서 지난 14일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통화에서 “북한의 비핵화 조치를 견인하기 위한 상응조치로서 한국의 역할을 활용해 달라”며 “남북 철도·도로 연결부터 남북경제협력 사업까지 트럼프 대통령이 요구한다면 그 역할을 떠맡을 각오가 돼 있다. 그것이 미국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길”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