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장기적인 자금 유입 측면에서 증권주에는 무엇보다 희소식이고 여타 업종들도 아쉬울 것이 없는 반면, 건설주와 은행주, 소비주 등 일부 내수주들은 달가워 할 입장이 못된다.
그러나 정부가 단순히 수요만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주택공급까지 염두에 두고 있고, 향후 부동산 경기의 경착륙 여부나 소비위축 가능성과 맞물릴 경우 호악재의 무게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건설주 제한적 부담에 무게
정부가 부동산 투기수요 억제를 위해 칼을 빼 든 만큼 건설주의 경우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 수밖에 없다. 부동산 매매 규모는 물론 신규 아파트 건설 수요를 위축시키면서 건설업체들의 수주 규모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부가 수요는 억제하되 강북재개발 등 주택공급을 확대할 방침이라고 누누히 강조한 만큼 부정적인 영향이 제한될 것이라는 데 무게가 실린다.
봉원길 대신증권 연구원은 "단순히 부동산을 잡으면 건설경기가 죽는다는 도식화는 힘들다"며 "정부가 공급을 줄이겠다고 밝힌 것은 아닌 만큼 무조건 부정적이라고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삼성증권도 "기본틀이 투기수요억제 뿐만 아니라 재건축 규제완화를 통한 공급확대에도 있는 만큼 건설주는 경기부양 수혜주로 지속적인 의미 부여가 가능하다"며 "실수요자를 위한 공급기회 확대라는 측면에서는 오히려 긍정적"이라고 판단했다.
◇은행주 대출수요 위축 부담·증권주는 호재
건설주와 함께 은행주와 증권주 등 금융주 전반에 대한 영향도 관심이다. 일단 은행주의 경우 주택담보대출 수요 위축 우려로 부정적인 측면이 더 부각되고 있다.
이미 정부는 올해 7월부터 투기지역에 대한 주택담보비율(LTV)를 낮췄으며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한풀 꺾였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과거 세차례 LTV를 낮춘 경우 주택가격이 하락하고, 주택대출수요 위축으로 이어졌다.
또 과거 3년간 주택대출 수요와 서울가격의 주택가격 상관계수가 0.8을 기록하며 밀접한 상호관계를 보여 이번 대책 이후에도 주택가격 상승 기대감이 사라지면서 주택대출 수요도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은행주 역시 제한적인 범위에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완전히 꺾이기보다는 둔화되는 선에서 그칠 수 있다는 것. 또 대출성향에 따라 은행별 영향이 상이할 수 있다는 판단도 나온다.
주식시장 거래대금에 가장 민감한 증권주의 역시 부동산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이동할 것이라는 기대가 현실화될 경우 가장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되지만 향후 부동산 시장의 연착륙 성공 여부에 따라 주가 탄력도 달라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부유층 겨냥 소비주, 일시적 위축 가능성도
이밖에 일부에서는 이번 정책이 다주택보유자를 직접적으로 겨냥하고 있는 만큼 세부담이 이들에게 집중되며 부유층의 소비를 위축시킬 경우 소비관련주에 일부 영향을 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UBS증권은 "지난 2003년 10월도 비슷한 부동산 정책 이후 백화점이나 홈쇼핑, 증권주 등 고부가가치 제품 소비와 관련된 주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며 "오히려 건설주와 소비재 주가의 경우 안정됐고, 자동차 업종은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따라서 고가품을 취급하는 백화점 관련주 등은 비중을 줄이라는 설명이다.
반면, 유주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주로 고소득층의 동향을 대변하는 백화점 매출이 지난달을 제외하고는 매달 감소추이를 지속하는 등 소비양극화가 한동안 지속되고 있다"며 "부동산 대책으로 추가적인 위축이 있을 것으로 보이지 않아 `중립적`으로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