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중년층 5명 중 1명꼴로 고관절 충돌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관절 충돌증후군은 볼과 소켓 모양으로 서로 잘 맞물려서 움직이는 골반 뼈와 허벅지 뼈가 후천적으로 변형이 되거나 선천적으로 다르게 생겨서 움직일 때마다 부딪히는 바람에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고관절 뼈에 이상이 있더라도 충돌을 일으킬 정도가 아니면 아무런 증상이 없지만, 몸에 맞지 않는 과격한 운동이나 스트레칭으로 통증이 생기는데도 반복적으로 운동을 지속하면 관절 연골 손상이 심해져 퇴행성관절염까지 생길 수 있다.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윤필환 교수팀이 최근 우리나라 18세~50세 성인 200명의 고관절을 조사한 결과 19.3%가 고관절 충돌증후군이 생길 수 있는 고관절 뼈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간 아시아인은 고관절 충돌증후군을 일으키는 고관절 뼈 이상이 드물다는 통설과 달리 상당히 높은 수치다. 고관절 충돌증후군은 서양인에서 흔하고 동양인에서 드물다고 알려졌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성인 남녀에서도 서양인과 유사한 정도의 비율로 고관절 충돌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는 고관절 이상이 발견된 것이다.
또한 남성의 고관절 뼈 이상 유병률이 30.8%로 여성의 유병률 12.6%보다 높았다. 서양에서도 고관절 충돌증후군은 남성 운동선수에게 많이 발생하는데, 일반적인 고관절 뼈 모양과 달리 충돌하기 쉬운 형태로 생기는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윤필환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운동선수뿐만 아니라 평소 운동을 많이 하는 젊은 세대에서 고관절 충돌증후군 환자가 늘고 있다. 과격하게 다리를 돌리거나 뒤트는 동작처럼 고관절이 과하게 굽혀지는 움직임은 고관절에 부담을 줄 수 있다”면서 “특정 자세에서 고관절에 반복적으로 통증이 생기면 무조건 통증을 극복하려고 하지 말고 운동방법을 바꾸는 게 좋다. 생활 습관 교정이나 자신의 몸에 맞는 운동을 하는 것만으로도 치료할 수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고관절 충돌증후군의 증상은 누운 자세에서 무릎을 잡고 가슴 쪽으로 당기거나 다리를 안쪽으로 회전할 때, 오랜 시간동안 앉아 있다가 일어설 때 통증이 느껴지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 같은 치료를 받았는데도 통증 때문에 생활이 불편하거나 자기공명영상(MRI) 등 정밀 검사에서 고관절 충돌증후군에 의한 연골손상 등이 관찰되는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최근에는 피부를 크게 절개할 필요 없이 보통 허벅지 3~4군데에 5~6㎜ 정도의 구멍을 내 관절내시경과 특수기구를 삽입하는 관절경 수술이 이뤄지고 있다.
윤필환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예전에는 피부를 크게 절개할 뿐만 아니라 필요할 경우 관절을 일부러 탈구시킨 다음에야 수술이 가능했기 때문에 환자가 받는 수술 부담이 크고 여러 가지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높았다”면서 “하지만 관절경 수술의 경우 상처 크기가 작고, 근육을 절개하거나 관절을 탈구시키지 않기 때문에 수술 후 통증이 심하지 않아 수술 직후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며 회복이 빠르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오는 9월 영국 캠브리지에서 열리는 국제고관절학회(ISHA)에서 발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