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를 보면 지난해 국내에서 알츠하이머병이나 혈관성 치매·기타 치매 등을 사인(死因)으로 사망 신고를 한 사망자 수는 총 9164명으로, 10년 전인 2006년(4280명)보다 2배 넘게 늘었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치매가 생기면 뇌 기능 저하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워지고 몸이 약해지면서 폐렴 등 합병증을 동반해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며 “이처럼 근원적 사인이 치매일 경우 ‘치매에 의한 사망자’로 분류한다”고 말했다.
치매는 ‘베타 아밀로이드’나 ‘타우’ 등 독성 단백질이 쌓여 뇌세포가 사라지는 신경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자주 다니던 길이나 은행 비밀번호 등이 기억나지 않고 감정 기복이 심해지는 것 등이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통계청이 해당 통계 집계를 시작한 1983년 41명에 불과했던 국내 치매 사망자는 1990년(165명) 100명, 1993년(1368명) 1000명을 돌파했다. 이후 2002년 5154명으로 처음으로 사망자 수 5000명을 넘어섰고, 계속 증가세를 보이더니 2012년 8025명, 2015년에는 9460명까지 늘어났다.
치매 사망률은 작년 17.9명으로 10년 전인 2006년(8.7명)보다 9.2명 증가했다. 치매로 인해 목숨을 잃는 사람이 1000명당 1.8명꼴에 달한다는 얘기다.
치매 사망자 대부분은 어르신이다.
여자의 경우 치매는 더는 간과할 수 없는 병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치매의 한 종류인 알츠하이머병은 작년 여성의 10대 사망 원인 중 7위를 차지했다. 여자 인구 10만 명당 13.4명이 알츠하이머병을 앓다가 세상을 떠났다. 만약 혈관성 치매와 기타 치매를 합칠 경우 여자의 치매 사망률은 작년 인구 10만 명당 24.7명으로 당뇨병(19.2명)을 제치고 단숨에 사망 원인 5위로 올라간다.
정부도 이런 심각성을 인식해 치매 지원 강화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정부는 앞서 지난 7월 발표한 ‘새 정부 경제정책방향’에서 전국 치매안심센터 252개 확충, 중증 치매 환자의 본인 부담 경감, 고비용 진단 검사 급여화 추진 등 치매 국가 책임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내년 정부 예산에도 치매안심센터 252개소 운영 지원비 2135억원, 치매요양시설 192개소 확충 비용 977억원 등을 반영한 상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