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에서는 상반기 예산 조기 집행과 추가경정예산(추경) 등 정부의 정책 약발이 소진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아시아권 금융권 불안과 시리아 내전 등 대외 불확실성도 여전해 하반기 경기회복은 그만큼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전망이다.
◇ 정책 약발 다됐나..기업 설비투자 2분기째 마이너스
1일 민간경제연구기관들에 따르면 한국경제는 투자부진이 지속되면서 경기회복세가 미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통계청이 내놓은 ‘2013년 7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광공업생산은 전월대비 0.1% 감소했다. 하반기 첫 달이라는 상징성을 고려하면 경기회복의 기대감을 꺾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평이다.
특히 투자부진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월동기 대비 8.3% 감소하며 2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올해 1~7월 설비투자는 전년대비 증가세를 보인 적이 없을 정도로 부진의 늪에 빠져 있다.
◇ 불확실성 커진 대외환경..국내경제 발목 잡나
아시아권 신흥국의 금융불안과 미국의 양적완화(QE) 축소, 시리아 내전 등 불확실한 대외 여건도 하반기 국내 경기회복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반면 7월 지표가 혼조세를 보인다고 해서 더 나빠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거시경제실장은 “전체적으로 만족할 수는 없겠지만, 정부의 정책의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면서 8월이나 9월에는 지표 개선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 “하반기 경기 회복돼도 국내 기업 가시밭길”
하반기 경기가 일정부분 회복돼도 국내 기업들은 여전히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지홍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경기회복 속도는 완만할 것”이라며 “올 하반기 국내 기업의 매출이나 수익성 측면을 보면 상승 활력이 높지 않다. 특히 기업들은 대외불확실성이 심화되면서 환율변동에 따른 손실 가능성을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성장이 둔화하고, 출구전략에 따른 신흥국 금융시장 불안으로 신흥국 성장세가 전반적으로 꺾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은 이 같은 분석에 힘을 실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