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국배 기자] KB·신한·하나·우리 등 국내 4대 금융그룹의 회수 불가능 대출 채권 규모가 지난해 2조원에 육박했다. 고금리 장기화로 인한 연체율 상승에 건전성이 악화된 결과다.
| (사진=연합뉴스) |
|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그룹의 작년 말 기준 추정 손실은 약 1조966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말(1조3212억원)보다 48.8% 급증한 것으로 역대 최대치다.
그룹별로 구분해보면, KB금융의 추정 손실 규모는 2022년 말 2123억원에서 작년 말 3926억원으로 84.9% 늘었다. 4대 그룹 가운데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신한금융은 같은 기간 추정 손실이 5759억원에서 7514억원으로 30.5% 증가했다. 금액으로만 보면 가장 크다. 하나금융은 2350억원에서 3430억원으로 46%, 우리금융은 2980억원에서 4790억원으로 60.7% 늘었다.
비상장회사인 농협금융은 그룹 연결 기준 추정 손실을 공개하지 않았으나, 농협은행 기준 추정 손실은 1179억원에서 1335억원으로 13.2%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 대출(여신)은 부실 위험성이 낮은 순서대로 ‘정상-요주의-고정(대출금을 회수하지 못할 수도 있음)-회수의문(대출 회수에 심각한 어려움이 있음)-추정손실(대출 회수가 불가능)’ 등 5단계로 나뉜다. 3개월 이상 연체된 자산은 ‘고정’ 또는 ‘회수 의문’ 등급으로, 12개월 이상은 추정 손실로 분류되는데 사실상 ‘떼인 돈’으로 본다.
지난해 추정 손실이 급증한 것은 경기 부진과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연체율 상승이 원인으로 꼽힌다. 추정 손실을 포함한 4대 금융그룹의 전체 고정이하여신은 2022년 말 5조3997억원에서 지난해 말 7조9378억원으로 48% 늘었다. 4대 금융그룹은 지난해 전년보다 73.7% 늘어난 총 8조9931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적립하며 리스크 관리에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