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박근혜 대통령주재로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2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하반기 무역여건 진단과 수출확대 방안’ 등이 보고됐다.
이번에는 미국의 양정완화와 일본의 엔저 등과 같은 리스크에 대응하면서 우리기업의 새로운 수출시장 확대 등에 초점이 맞춰졌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중국 중서부개발 진출기반 구축과 지역특성별 맞춤형 진출이 추진된다. 지난해 3.3%에 불과한 중서부 내륙지방의 수출비중을 보다 확대하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산업부가 2009년 광둥성과 2012년 산시성과 체결한 경제협력 MOU를 중심으로 내년에는 쓰촨성, 2015년에는 후베이성, 2016년에는 깐수성으로 협력채널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같은 사업의 일환으로 정부는 9월 창원에서 중국 신도시화 정책 및 진출사례 설명회를 열고 기업의 진출전략 수립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10월에는 우한와 청두에 중서부 투자환경조사단을 파견해 현지 네트워크 구축하기로 했다.
베이징과 칭다오 등과 같은 화북지방은 서비스·조선·가공식품 등의 진출 전초기지로 활용된다. 상하이와 난징, 항저우 등과 같은 화동지방은 소재·부품 기업의 글로벌 파트널이 거점으로 활용된다.
광저우와 선전 등과 같은 화남지방은 IT·환경 등 신흥산업 중점 진출 지역으로, 청두와 시안, 정저우 등과 같은 중서부지역은 스마트시티·에너지절감·환경개선 등과 같은 신도시 건설에 필요한 사업의 진출이 추진된다.
이 외에도 환변동위험에 노출된 수출기업의 리스크 관리를 위해 한국무역보험공사의 환변동보험 인수규모를 2조 5000억원에서 3조원으로 확대키로 했다. 기타 옵션형 환변동보험 지원범위도 농산물에 한정치 않고 수산물과 제조업도 포함하기로 했다. 자동차 부품 등 장기공급계약의 경우 보험기간도 현행 3년에서 5년으로 확대된다.
대 이란 무역제재로 인한 수출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유동성을 겪는 중소·중견기업에 대해 정책자금 지원을 확대키로 했다. 중소무역업체 부담 완화를 위해 전자무역인프라기본료가 단계적으로 폐지된다. 내년 7월부터 긴본료를 폐지해 3만 4000여 무역업체가 부담하던 연간 106억원의 이용요금이 경감될 전망이다.
권평오 산업부 무역투자실장은 “중국의 수출경기가 둔화가 되면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도 상당히 큰 영향을 받는다”며 “중국에 안정적으로 수출할 수 있도록 중국의 내수시장, 특히 소비재 시장을 공략할 수 있도록 진출을 지원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