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KOTRA)는 5일 미국, 유럽연합(EU)에 이어 세계 3위 의약품 수입대국인 일본이 최근 바이오 시밀러를 포함한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 우리 기업의 일본 시장 진출 전망이 밝다면서 이처럼 밝혔다.
최근 일본 정부는 의료보험 재정 개선을 위해 2017년까지 제네릭 의약품(복제약) 사용을 총 의약품 소비의 80%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을 발표하는 등 2018년 제네릭 시장 규모가 1조 2000억엔(약 13조2000억원) 규모로 크게 확대될 전망이다.
더구나 2020년 전후로 대형 바이오의약품 특허가 만료될 예정이어서 바이오 시밀러 생산 확대가 필요하다는 일본 내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니치이코, 사와이, 도와제약 등 제네릭 전문 제약사는 해외 바이오 시밀러 기업과 협력을 적극 모색하고 있어 기술력이 뛰어난 우리 제약사의 합작 진출 가능성이 높다. 아스테라스제약, 오오즈카HD 등 일본 5대 제약사는 신약 개발과 특허 보호에 주력해 바이오 시밀러 분야 기술개발은 아직 미미하다.
실제 몇몇 우리 기업은 일본 기업과 협업해 현지 시장 진출 경험과 노하우를 확보하고 있다.
셀트리온(068270)의 경우 일본화학과 CT-P6(유방암·전이성 위염 치료제)를 공동 개발해 2015년 7월 기준 임상 3상 단계를 밟고 있다. 동아쏘시오홀딩스(000640)는 메이지 파마와 디엠바이오(DM Bio)라는 합작회사를 설립, 2014년 바이오 시밀러 생산을 위한 2500ℓ 규모의 공장을 준공했다. 종근당(185750), LG생명과학(068870) 등도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양국 기업 협력시 일본 제약사는 주로 일본 내 임상개발과 판매를 담당하고 있다.
고상훈 KOTRA 아대양주팀장은 “우리 기업들은 최근 바이오 시밀러 수출 성공사례를 통해 이미 앞선 기술력이 입증된 만큼 더 적극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에 대해 고민해볼 시기”라며 “자금력을 앞세운 일본 제약사의 바이오 시밀러 시장 진출세가 거세지기 전에 우리 기업이 선제적으로 일본 등 해외 시장을 공략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관련기사 ◀
☞[마감]코스닥, 나흘 만에 반등…'700선 회복'
☞셀트리온 램시마, 노르웨이서 1위
☞[마감]코스닥, 외인·기관 매도에 하락…거래시간 연장 효과 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