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연준은 이날 발표한 금융안정성 반기 보고서에서 “중국 경제 및 금융시스템 규모와 세계 나머지 국가들과의 광범위한 무역 연결을 고려하면, 중국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은 세계 금융안정에 잠재적 위협”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중국 금융시장의 불안은 위험심리를 악화시켜 글로벌 금융시장을 압박하고 세계 및 미국 경제 성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준은 “중국의 기업 및 지방정부 부채가 여전히 많다. 금융 부문의 레버리지가 중소 은행에서 특히 높다”며 “이러한 환경에서 차입 기관에 대한 규제가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것은 부채가 과다한 일부 기업, 최근 헝다(에버그란데)에 대한 우려에서 보여진 것처럼 부동산 부문에 특히 압박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금융회사에 대한 파급효과, 부동산 가격의 급격한 조정,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자의 선호도 감소가 있을 경우 중국 금융 시스템이 압박을 받을 수 있다”고 부연했다.
연준의 이같은 평가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헝다그룹 사태가 중국에게 있어 매우 특별하다고 언급한 지 두 달 만에 나온 것이라고 FT는 설명했다.
앞서 파월 의장은 지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헝다의 부채 문제는 중국에 국한되며 미국의 직접적인 노출을 크지 않다”면서도 “파산 위기에 따른 투자 심리 위축 등으로 세계 금융환경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는 있다”고 말했다.
“선진국 경제에서 글로벌 위험자산 투자심리 약화, 채권금리 상승 등으로 갑작스럽고 급격한 긴축이 발생할 경우 부채가 많은 신흥시장 경제 및 금융시장에선 정부 및 기업들의 부채 상환 비용이 늘어나고 자본유출이 발생하는 등 금융안정성에 위험이 초래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
연준은 보고서에서 “수수료 제로 시대, 프랙션(부분주식) 거래, 새로운 거래 플랫폼 등이 주식시장에 젊은 투자자들을 끌어들이는데 큰 역할을 했다. 이같은 새로운 투자자 유입으로 규제·감독당국의 감시가 더욱 중요해졌다”며 “소셜미디어는 개인 투자자들이 비슷한 관심사와 견해를 가진 다른 투자자들과 가장 많이 소통하는 채널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측은 물론 편향된 견해를 강요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연준은 또 “아직까진 게임스톱 등 인기 밈 종목의 시세가 큰 변동성을 보였음에도 금융안정성엔 제한적인 영향을 끼쳤다. 신규 유입된 젊은 주식투자자들은 더 높은 부채 수준을 가지려는 경향이 있고 종종 옵션에도 손을 대고 있다. 이는 시장이 하락할 때 손실을 더욱 증폭시킬 수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개인투자자들의 높아진 위험선호 욕구가 보다 완화적인 수준으로 급격히 후퇴하게 되면 잠재적으로 불안정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며 “금융기관들은 밈 주식 선호 현상이 시장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잠재적 변동성과 관련해 조정이 필요하며, 시스템 탄력성을 보장할 수 있기 위한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