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택 서민들의 사정도 어렵다. 매입수요가 전세수요로 전환되어 전셋값이 많이 올랐기 때문이다. 또 가계대출 연체 증가로 주택·금융부문의 동반 부실위험이 커지고 건설투자 감소가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의 발목을 잡고 있다.
2006년 당시 건설교통부 주거복지본부장으로 근무하던 필자는 보도자료를 배포하여 2010년 전후 강남권을 중심으로 공급쇼크(Supply Shock)가 발생해 주택시장이 대세 하락기로 접어들 것임을 예고한 바 있다.
그렇다면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지금은 과도한 주택 구입심리 위축이 문제다. 일시적 공급과잉과 중복적 수요 규제 때문이다. 이 가운데 보다 근본적인 것은 공급과잉이다. 잠재적 주택 구입자에게 불 꺼진 아파트보다 무서운 것은 없다. 따라서 공급의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 경우 공급감소로 자칫 임차시장 불안을 가중시킬까 염려된다.
다주택자에 대한 인식 전환도 필요하다. 투기자로 몰고 징벌적 과세를 부과하는 것보다는 임대수익에 대한 정상적인 과세와 임대료 인상 제한 등을 통해 건전한 임대사업자로 키워나가는 것이 서민 주거안정을 위해 보다 효과적이다. 아울러 집값 급등기에 도입된 세제·금융 등 수요 측면 규제를 확실히 풀고 생애최초 주택구입 자금 등 금융 지원 확대를 통해 주택 구매심리를 되살려야 한다.
주택정책은 다차원 고차방정식이다. 또 국민들의 이해와 지지가 필수적이다. 새 정부는 국민과 소통을 통해 문제의 본질과 문제 해결의 기본방향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한 후 신속하고 일관되게 우리 주택시장의 문제를 풀어갔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