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7일 3월 기준 일본은행의 보유잔액은 28조엔(시가 기준)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이는 우리나라 코스피 격인 도쿄증시 1부의 시가총액의 4.7%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 같은 속도로 일본은행이 일본 주식을 계속 매입할 경우 2020년 11월에는 현재 도쿄증시 1부(우리나라의 코스피 격) 상장주식 시가총액 6% 정도를 보유해 연금적립금관리운용독립행정법인(GPIF)를 제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일본은행은 글로벌 금융위기 후유증이 남아 있는 2010년 12월부터 ETF 투자를 했다. 중앙은행이 돈을 찍어서 채권 등을 사는 양적완화 정책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대다수 국가에서 시행됐지만, 중앙은행의 주식 매입은 유례가 없는 일이었다. ETF 매입을 처음 도입한 시라카와 마사아키 전 일본은행 총재도 “매우 이례적인 조치”라고 강조한 바 있다. 그러나 2013년 3월 취임한 구로다 하루히코 총재 체제에서는 이례적인 조치가 일상화됐다. 디플레이션을 벗어나기 위해 연 2% 물가상승률을 달성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ETF 매입을 계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식시장에서 일본은행의 존재감이 커지는 것에 대한 우려하는 목소리가 작지 않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15일 공표한 대일경제심사보고서에서 “시장의 규율을 훼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ETF를 통한 주식 매입은 기업의 실적을 고려하지 않고 주식을 사기 때문이다.
일본은행이 발표하는 매입기준 등을 토대로 실질보유액을 환산해보면 일본은행은 이미 닛토(日東)전공과 파낙, 오므론 등 23개사의 최대 주주가 된 것으로 보인다. 상위 10위 이내 주주를 가리키는 ‘대주주’ 기준으로 보면 3월말 현재 절반에 가까운 상장기업 49.7%의 대주주인 것으로 파악됐다.
무엇보다 일본중앙은행의 주식 투자에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것은 출구전략을 세우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채권은 만기가 있지만, 주식은 만기가 없다. 그렇다고 해서 섣불리 주식을 매도할 경우에는 주식시장 자체를 흔들어놓을 가능성이 있다. 일본은행이 시장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보유 ETF를 처분하는 데는 60년 이상이 소요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자승자박이라도 해도 좋을 상황에 고노 류타로 BNP 파리바증권 주임 이코노미스트는 “일본은행은 (매각을 포기하고) 주식을 움켜쥐고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