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한국 근로자 대부분이 전체 연차휴가일수 중 절반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휴가사용일도 5일 미만인 근로자가 가장 많았다.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않는 근로자도 10명 중 1명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한국 근로자의 휴가 사용 현황과 장애요인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휴가 확산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국내관광 활성화를 위한 휴가 사용 촉진 방안 및 휴가 확산의 기대효과’ 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직장 내 분위기 때문에 연차 사용 꺼려해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 임금근로자의 연차휴가 부여일수는 평균 15.1일이며 사용일수는 평균 7.9일로 52.3%의 휴가사용률을 보였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의 평균 휴가일수(20.6일)와 휴가사용률(70%)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다.
휴가사용일에 대해서는 5일 미만이라는 대답이 33.5%로 가장 높았다. 연차휴가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는 대답도 11.3%로 나타났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연차휴가 부여일수는 늘어나지만 사용일수는 모두 평균 7.7일로 차이가 없었다. 공공기관과 민간기업과 비교했을 때는 공공기관의 휴가사용률이 44.7%로 민간기업(55.1%)보다 낮았다.
|
휴가를 사용하지 못할 경우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삶에 대한 만족감 하락(49.9%) ▲스트레스 누적으로 인한 업무 능률 저하(38.5%) ▲스트레스 및 피로 누적으로 인한 건강문제(33.35) 등을 꼽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는 ‘이직 고려’, 30대는 ‘업무능률 저하’라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반면 50대는 ‘휴가 사용 문제는 중요하지 않다’는 응답 비율이 22.5%로 높게 나타났다.
휴가사용 횟수는 연평균 5.85회, 최장 휴가사용일은 평균 3.08일로 대체로 연차휴가를 짧게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휴가시 여가활동은 ▲국내여행 36.8% ▲휴식·기타활동 35.9% ▲해외여행 16.2% 순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 지출액은 ▲해외여행 239만원 ▲국내여행 74만원 ▲휴식·기타 33만원 ▲스포츠오락 25만원으로 조사됐다.
근로자들은 연차휴가 사용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와 직장내 인식이 달라지고 미사용 연차에 대한 금전 보상을 폐지할 경우 지금보다 더 많은 휴가를 사용할 것이라는 의사를 보였다. 휴가를 더 사용할 때의 활동에 대해서는 ▲국내여행 ▲휴식·기타 ▲해외여행 등이 있었다. 미사용 연차휴가 금전 보상을 폐지할 경우에는 여행이나 문화오락보다 휴식 및 기타활동을 하겠다는 대답이 높았다.
연차휴가 사용촉진제를 시행하는 직장 근로자의 경우 평균 9.9일을 쓴 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평균 6.8일을 휴가로 사용하고 있었다. 현재 연차휴가 사용촉진제를 사용하는 기업은 35.6%에 불과해 근로자의 휴가 확산을 위해서라도 연차휴가 사용촉진제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했다.
|
△연차휴가 전체 소진시 소나타 46만대 판매 버금가
조사에 따르면 국내 사용근로자 1400만명(고용노동부 고용노동통계포털 2016 상용근로자 기준)이 부여된 연차휴가를 모두 사용할 경우 ▲여가소비 지출액 16조8000억원 증가 ▲생산유발액 29조3000억원·부가가치 유발액 13조1000억원 증가 ▲고용유발인원 21만8000명의 경제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중에서 국내관광 증가로 인한 생산유발액은 전체 81%에 해당하는 23조7000억원이었다.
삶의 질에 대한 만족도는 2.78%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직장생활 만족도 2.50% ▲가정생활 만족도 2.08% ▲건강상태 만족도 0.72%가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문체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직장인이 휴가를 모두 사용하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고 국내 여행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연차휴가를 다 사용할 계획이라며 공무원도 연차를 다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독려해 달라고 했다”면서 “중국인 관광객 감소로 관광시장과 내수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높은 상황에서 적극적인 휴가 사용은 개인에게 재충전의 기회를 줄 뿐만 아니라 어려운 내수경기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산업연구원에서 진행한 이번 조사는 만 20세부터 59세까지의 민간기업 및 공공기관 근로자 중 재직기간이 1년 이상인 임금 근로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중소기업·중견기업·대기업 인사·복지 담당 중간관리자를 대상으로 하는 심층면접으로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