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에서는 동아제약이 전통적인 의약품 시장에서 안정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불안한 의약품 시장 여건을 감안,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하기 위한 적극적인 행보로 평가하고 있다.
앞서 동아제약은 지난해 말 메디포스트로부터 줄기세포치료제 `카티스템`의 국내 판권을 넘겨받는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현재 임상3상시험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카티스템이 시판허가를 받게 되면 직접 판매함으로써 새로운 수익원을 확보하게 되는 셈이다. ◇바이오 분야도 고른 파이프라인 구축..`불안한 시장여건 극복` 업계에서는 이같은 동아제약의 행보에 대해 새로운 먹거리 창출을 위한 현실적인 도전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 동아제약은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전통적인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도 꾸준한 성과를 거뒀다. 이 회사는 지난 1990년대에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활용한 유전공학치료제 `인터페론알파`, 국내 최초의 항결핵제 `사이클로세린`의 원료, 빈혈치료제 `에포론`, 2세대 인성장호르몬 `그로트로핀`을 개발했다.
여기에 바이오업체들을 중심으로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는 줄기세포와 바이오시밀러라는 새로운 무기를 장착함으로써 외형적으로는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도 고른 파이프라인을 갖추게 됐다는 평가다.
동아제약은 과거 박카스를 비롯한 일반의약품을 중심으로 입지를 다진 후 2000년대 들어서는 `자이데나`,`스티렌` 등을 통해 자체개발 신약 분야에서도 성과를 거두고 있다. 스티렌은 연간 800억원대 매출로 국내사가 개발한 전문약중 가장 많은 매출을 기록중이다.
다만 현재 의약품 시장 여건이 썩 좋은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신규 시장 진출을 서두르는 것으로 분석된다.
일반약 시장이 침체를 겪고 있으며 제네릭 시장도 이미 포화상태에 이른지 오래다. `스티렌`과 같은 걸출한 신약이 꾸준히 나오리라는 보장도 없다.
이런 상황에서 줄기세포치료제, 바이오시밀러 등 미지의 영역에 진출함으로써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새로운 먹거리 창출이라는 똑같은 고민을 하고 있는 대부분의 국내제약사들이 동아제약의 이같은 행보에 관심을 집중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