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피치는 1일(현지시간) 미국의 장기신용등급을 기존 AAA에서 AA+로 한 단계 하향 조정했다. 피치는 향후 3년 재정악화 가능성, 정부부채의 높은 증가세, 20년간 반복된 부채한도협상 막판 타결을 등급강등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피치는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재정적자가 작년 3.7%에서 올해 6.3%로, GDP 대비 정부부채는 올해 112.9% 수준에서 2년 뒤 118.4%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금센터는 이번 신용등급 강등에 대한 시장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김윤경 부장은 보고서에서 “피치는 미 달러화가 기축통화이므로 자금조달 유연성이 여타 정부와 남다르다는 점을 언급했고, 이는 실제로 미국만의 상당한 강점”이라며 “신용등급 강등은 미국 위상을 저해하는 요인이지만, 위험회피 심리를 자극해 미 국채와 달러화 매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양면성이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국금센터는 해외 투자은행(IB), 연구소 등이 2011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 사태와 비교해볼 때, 이번 조치 영향은 달러진 미국의 경제 펀더멘탈 등으로 인해 제한적으로 보고 있다고도 전했다.
UOB그룹은 “미국 국채는 여전히 가장 유동적이고 안전한 자산이므로 투자자들의 대량 매도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며 “비 달러화로의 자산다변화는 지속될 것이나 강등에 따른 것이라기 보단 지정학적 리스크 등이 배경”이라고 평가했다. JP모건은 “2011년 강등 이후 국채시장은 큰 변동성을 보였지만, 재정지출 감소폭이나 실업률 등 현재 미국 경제 기반이 그때와 매우 다르기에 과거와 같은 변동성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발표 시점이 특이하다는 점도 지적됐다. 미국 경제가 금리인상에도 경기침체 없이 인플레이션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확산되는 시점에 신용등급을 강등한 것이 의문이라는 것이다. 브루킹스(Brookings) 연구소는 “이번 결정이 놀라운 것은 피치가 미국을 부정적 관찰대상에 올린 시점과 비교할 때 지금 상황이 더 나쁘지 않다는 점”이라며 “부채한도 협상이 타결됐고, 타결 전에 비해 재정과 관련한 긍정적인 소식이 많이 있었다는 점에서 이해가 어렵다”고 했다.
다만 단기적인 영향은 있을 수 있다는 분석이 따랐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단기적으로 공급물량 증가가 예상되는 미국 국채 입찰에서 수요 부진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