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씨는 “자본 세습이 대대손손 이뤄지는 상황에서 노동자는 정리해고를 물려주는 게 아닌지 두렵다”며 “꿈이었지만, 억장이 무너져 울었다”고 말했다
지난 9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정리해고 당사자 증언대회’에서는 김씨와 같이 하루아침에 직장을 잃고 거리로 내몰린 정리해고 노동자들의 한숨 섞인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콜텍에서 통기타를 만들다 지난 2007년 회사가 폐업하며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 이인근씨는 “사측이 중국공장으로 확장 이전하며 정리해고를 단행해 문제를 제기하자 대전공장의 문을 아예 닫아버렸다”며 “회사에서는 수년간 흑자를 내다가 지난해 6억원 적자가 났다는 이유를 들고 있지만, 중국과 인도네시아 공장은 증설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특히 흥국생명은 1998년부터 2004년까지 5번의 정리해고를 통해 3400명의 직원을 500명으로 줄였다. 하지만, 당기순이익의 적자는 한 번도 없었다.
이어 “경영진과 주주의 책임과 부담 없이 기업 경영 위기의 대부분을 노동이 떠안고 있기 때문에 이런 일이 나타나는 것”이라며 “정리해고 요건인 ‘긴박한 경영상의 이유’에 대한 사회적 기준과 평가 절차를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영국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노동위원장도 “긴박한 경영상 필요의 판단과 평가를 사용자에게 맡겨놓는 이상 어떤 방법이든 사후약방문에 불과할 것”이라며 “경영상 이유와 인원감축의 필요성에 대한 확인과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절차와 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