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정상화를 위한 재정의 역할을 여전히 강조하고 있지만 그 강도가 줄어들고 있으며 그 자리를 재정건전성에 대한 강화로 채워지고 있는 셈이다. 특히 일자리 창출과 성장 잠재력 확충에 최우선 순위를 두고 있지만 효율적 효과를 강조하고 있어, 사실상 일자리 지원에 대한 출구전략이 본격화됨을 시사했다.
◇ 신규사업·기존 사업 성과관리 강화
재정건전성을 줄이기 위한 정부의 방안은 모든 사업을 제로베이스에서 재검토함과 동시에 신규 사업에 대한 관리 강화, 기존 사업에 대한 성과 평가 후 예산 증액 여부 검토를 병행키로 했다.
신규 사업에 대한 관리 강화는 연 500억원, 총지출 2000억원 정부 사업은 재정부 장관이 주재하는 위기관리대책회의에 상정키로 했다. 여기에 위기관리대책회의 상정에 앞서 재정부와 신규 사업을 요구하는 부처간 적극적으로 협의하도록 해 예산의 낭비를 최소화하기로 했다.
기존 사업도 국정과제 중심으로 우선순위를 만들어 우선순위가 낮은 사업은 축소 또는 폐지한다. 유사·중복 사업도 통폐합하고 기관간 업무도 명확히 구분하기로 했다.
일반 재정사업 외에 R&D, 정보화 사업 등 이미 정부가 진행 중인 사업에 대한 성과 관리 역시 강화된다. 정부는 기존 사업에 대한 `매우우수, 우수, 보통, 미흡, 매우 미흡` 등 5단계 평가를 실시해, 보통 이하로 평가된 사업에 대해 예산을 증액하지 않기로 했다.
특히 `미흡 등급` 사업은 수정평가를 통한 등급 개선이 없을 경우 3년 연속 10% 삭감원칙을 적용하고, `매우 미흡 사업`은 3년 연속 10% 삭감 원칙 및 사업 폐지도 단행키로 했다. 아울러 각종 보조금 사업과 관련해 3년 단위로 존치 평가를 해 폐지 여부를 결정하는 보조금 일몰제를 도입키로 했다.
또 사용료, 수수료 등은 수익자 부담원칙에 따라 현실화하기로 했으며, 보유자산의 효율적 활용 및 수익성을 제고키로 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서울대학교 수원 농대부지 등을 행정복합 빌딩으로 개발해, 임대수익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 고용에서 고용효율화로..일자리 정책 출구전략 본격화
이를 위해 정부는 일반기업에 미취업자를 취업시킬 목적으로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를 축소하고, 가급적 취업취약게계층을 중심으로 대상을 한정키로 했다. 또 일자리 지키기, 나누기를 지원하는 사업도 지원요건, 대상을 엄격하게 설계하고, 효과가 미흡할 경우 과감하게 폐지하기로 했다.
성장 잠재력을 높이기 위한 재정투자는 지속한다는 게 정부 방침이다. 이를 위해 국가 연구.개발(R&D) 예산 투자규모는 줄이지 않고 지속 투자할 계획이다. 녹색기술.신성장동력 및 기초.원천연구 등 분야가 투자 대상이다.
사회간접자본 부분에선 4대강 살리기, 30대 선도 프로젝트 등 주요 국책과제 위주로 투자 우선순위를 만들기로 했다. 이를 통해 사업의 시급성과 편익이 높은 사업 위주로 투자하고 신규사업 추진을 억제하며 완공 사업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