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4월 1일부터 11월 30일, 화요일~토요일의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대문을 활짝 열어놓고 손님을 맞는 집.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의 저자 혜곡 최순우 선생의 옛집의 뜰은 너그러워서 아름답다.
1976년부터 최순우 선생이 작고할 때까지 살았다는 이 성북동 고택은 밖에서만 유리창을 통해 안을 들여다볼 수 있는데, 앉은뱅이 책상과 고서가 단정하게 놓인 모습이 기품을 더한다. 1930년대 지어진 한옥, 경기지방에서 많이 보이는 'ㄱ'자형 안채와 'ㄴ'자형 바깥채로 된 'ㅁ'자형 집. 안마당은 아담하고 뒷마당엔 꾸밈없는 자연미가 있다. 산수유와 신갈나무, 자목련이 어우러진 손바닥만한 뒷마당엔 봄볕이 너울너울 넘친다. 소박한 돌, 작은 미술품이 걸음 걸음마다 낮게 자리를 잡고 슬며시 웃고 있다.
겨울에 문을 열지 않는 이유는 "동절기 때마다 집을 청소하고 다듬어서 다시 손님을 맞는 준비를 하기 위해서"라는 것이 이곳 관리인의 설명. "그래도 뜰에 가득 흰 눈이 쌓이면 지나가는 손님들 잠깐 구경하라고 대문을 잠시 열어둔다"고 하는 설명에서 넉넉한 아름다움이 느껴진다. 관람요금 무료. (02)3675-3401~2
|
::: 심우장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에 있는 만해(萬海) 한용운(1879~1944)의 유택. '심우장(尋牛莊)'이란 집 이름은 선종(禪宗)에서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는 과정(잃어버린 소를 찾는 것에 비유) 중 하나인 '자기 본성인 소를 찾는다'는 '심우(尋牛)'에서 따온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집엔 한용운이 쓴 글씨와 연구논문집, 옥중공판기록 등이 그대로 보존돼 있다. 현판은 함께 독립운동을 했던 서예가 오세창(1864~1953)이 쓴 것이다. 봄볕조차 쓸쓸한 작은 마당, 동네 아이들이 대문을 빼꼼 열고는 "놀러왔다"고 외쳐 고즈넉함을 깨기도 한다.
▶ 관련기사 ◀
☞봄 즐기기 좋은 서울의 ''숨은'' 공간